지적 생산의 기술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23
우메사오 다다오 지음, 김욱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적 생산의 기술》이란 "인간의 지적 활동이 어떤 새로운 정보를 생산했을 때의 상황" 을 뜻한다.

이런 지적 생산은 예전에는 소수의 학자나 문필업자의 일이었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만인에게 필요한 기술이 되었다. 리포트나 논문을 쓰는 학생, 보고서를 쓰는 직장인, 일기를 쓰는 아이, 다이어리를 쓰는 가정주부 등도 지적 생산의 기술을 발휘하는 것이다.

지적 생산의 바탕은, 읽기와 쓰기 및 자료 정리와 고찰.

이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내게 필요한 자료를 찾는다, 책을 읽는다, 정리한다, 파일을 만든다, 생각한다, 발상을 정착시킨다, 목전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활용한다. 기록한다. 보고서를 작성한다.

이 책은 이런 지적 생산 기술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인지를 말해준다.

(카드, 노트 활용법 등 실질적인 기술이 제시된 점이 장점. 그러나 옛날에 쓴 책이라 내용 중 어떤 부분은 현재 시점에서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

1. 발견의 수첩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수첩' 그의 수첩은 모든 현상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과 지식욕, 포용력, 이 모든 것에 대한 동경을 품고 있다.

발견의 수첩에는 일상에서의 지적 활동을 기록한다.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는 '기쁨'을 적어둔다.

문장으로 적는다.

적다보면 정확한 관쳘력과 정교한 사교력을 단련하게 된다.

수첩은 문고판 소설보다 작은 크기로. 1페이지에 한 항목씩 적는다.

다 썼을 때는 반드시 색인을 만든다.

타인의 생각이 아닌 나만의 생각이 만들어진다.

2. 노트/ 카드로

노트: 종이를 절약하겠다는 생각을 버린다.

왼쪽 페이지에다 본문을 요약하고 오른쪽 페이지는 백지로 두고 자기 생각을 적는다.

카드: 늘 50매씩 가지고 다닌다. 어디서든 약간의 지적 작업이 가능해진다.

카드는잊어버리기 위해 쓴다. 기억하는 대신 기록한다.

컴퓨터의 장치와 같다.

반드시 날짜를 기록한다.

카드 1장에는 한 가지 사항만 기록한다.

카드를 모으기 위해 작성하는 것은 아니다. 카드를 조합해 나만의 지적 생산을 이루내는 과정이 중요하다.

중요한 건 '재구성'

3. 자료, 발췌와 규격화

규격화와 단위화는 분류, 정리, 보존의 기초.

4. 정리와 정돈

정리는 기능의 질서 문제 (정리는 당사자가 해야 한다. 얼핏 지저분해 보여도 언제든 찾아 쓸 수 있게.)

정돈은 형식의 질서 문제 (정돈은 남이 할 수 있다.)

정리의 기술

보관 장소의 결정. 놓아두는 장소에 체계가 있어야 함.

지적 생산의 장소

작업장 : 글을 쓰는 곳

재료 창고

정리가 중요한 이유: 지적 활동에는 초조함이 배제된 '질서와 안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5. 독서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봐야 한다.

저자는 전체적인 구상에 따라 한 권의 책을 만든다. 각 부분은 전체적인 문맥에 맞게 위치가 정해진다. 작가의 구상과 문맥은 전체를 읽어야만 비로소 완벽하게 이해된다.

(144)처음부터 끝까지 읽은 책은 '읽었다', 일부만 읽었을 경우에는 '보았다'라고 해야 한다.

(159)저자에게 약간 미안한 마음도 들지만 나에게 책은 '미끼'에 불과하다. 이 미끼를 잘 활용해서 내 머릿속의 물고기를 낚아 채기 위해 책을 읽는다. 생산적 독서법의 터득.

7. 편지

(196)형식이 부정되면서 각자 책임 하에 편지를 쓰게 되었다. 형식보다 내용이 주가 된 것이다. 진정주의. 즉 편지를 쓸 때마다 자신의 진정을 말해야 한다는 어떤 규범이 정해져버렸다. 그러나 문장을 통해 자신의 진정을 토로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하물며 진정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8. 일기

'나'와의 편지 왕래. 존재하는 시간 대가 다른 나라는 타인과의 편지 왕래.

일기는 나를 위한 업무보고서.

개인을 위한 아르키프(문서관)

11. 문장

문장을 쓰는 작업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는 생각을 정리하는 단계. 둘째는 그것을 실제 문장으로 표현하는 단계.

(249)전달할 만한 가치를 지닌 정보들이 머릿속에서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슨 수로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겠는가.

'고자네' 법

(고자네 : 중세 시대에 갑옷을 만들 때 조그마한 가죽 널빤지를 끈으로 이어 갑옷의 형태를 미리 잡아주었는데, 이 널빤지를 고자네라고 한다.)

규격 외의 종이를 B8 사이즈로 재단한다.

지금 생각하고 있는 주제와 관련이 있는 단어, 구절, 또는 짧은 문장 등을 한 장에 한 항목씩 적는다.

책상 위나 바닥에 늘어 놓는다.

늘어 놓은 종이를 한 장씩 주으면서 그와 관련된 종이가 없는지 살핀다. 있다면 묶음으로 포개놓는다.

중요한 건 이때 절대로 종이를 분류해서는 안 된다는 점. 논리적 연관성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분리된 자료를 연결시킨다.

고자네 묶음과 제목을 보면서 전체적인 구성을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