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난 서울 - 미래를 잃어버린 젊은 세대에게 건네는 스무살의 사회학
아마미야 카린, 우석훈 지음, 송태욱 옮김 / 꾸리에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과 일본은 바다를 사이에 둔 이웃이다. 부산항에서 쾌속선을 타면 3시간 후에 후쿠오카항(하타카항)에 도착한다. 지척에 있지만 두 나라 사이에는 바다보다 너른 마음의 ‘거리’가 존재한다. 화해는 쉽지 않고 앙금은 가라앉지 않는다. 한국인에게 일본은 ‘가깝고도 먼 나라’였다. 그 막막한 거리를 좁혀줄 징검돌 3권을 소개하고자 한다.

 

새벽녘 통영에서 잡힌 갯장어는 그날 저녁 교토의 식탁에 오른다. 《한일 피시로드-흥남에서 교토까지》(다케쿠니 도모야스, 오근영 역, 따비, 2014)는 한일 간의 어업 교류를 다룬 책이다. 저자는 방대한 현장 조사와 인터뷰로 한국과 일본이 ‘생선’을 주고받은 역사를 짚어간다. 일본인은 붉은 살 생선을 선호하고, 한국인은 흰 살 생선을 좋아한다. 두 나라는 바다를 오가며 필요한 생선을 주고받았다. 자갈치 시장의 아주머니, 교토 초밥집의 여주인은 살이 탱탱하고 맛깔난 생선으로 엮인다. 명태와 넙치가 오가고 일본인과 한국인이 만난다. 저자는 이처럼 바다를 매개로 펼쳐진 두 나라 사이의 네트워크를 탐색한다. 아주 오랜 옛날부터 두 나라는 필요한 것, 모자란 것을 주고받은 이웃이었다.

 

라면과 라멘은 형제였다. 《라면이 바다를 건넌 날》(무라야마 도시오, 김윤희 역, 21세기 북스, 2015)에는 한국과 일본에서 라면을 만들려고 고심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대화를 나누듯 번갈아 등장한다. 최초로 인스턴트 라면을 출시하기까지, 일본 묘조 식품은 면발 뽑기, 용기 개발, 스프배합기술 등등 모든 과정에서 고군분투했다. 삼양 식품은 라면 공장을 세우고 생산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고개를 넘어야 했다. 묘조 식품은 삼양라면에 고생 끝에 개발해낸 라면 제작 기술을 전해준다. 전쟁 후에 굶주린 사람들에게 싸고 푸짐한 음식을 전하려는 뜻에, 마음을 더한 것이다. 책의 말미에는 묘조 식품 회장이 보낸 마지막 편지가 실려 있다. “우리의 만남을 감사하는 의미로 자그마한 선물을 준비했습니다. 스프 배합표입니다.” 꼬불꼬불하고 기다란 면발은 한국과 일본을 잇는다.

 

우리는 한국인도 아니고, 일본인도 아니다. 불안한 젊음일 따름이다. 《성난 서울》(우석훈, 아마미야 카린, 송태욱 역, 꾸리에, 2009)은 한국 사회학자와 일본 사회운동가가 함께 펴낸 책이다. 비정규직 비율이 37~38%에 이르는 일본은 24세 이하의 청년 두 사람 중 한 사람은 비정규직이다. 한국은 OECD 국가 중 비정규직 비율 단연 1위이며 20대의 절반이 무직이다. 두 나라의 20대는 슬프게도 닮은꼴이다. 한국 사회학자와 일본 사회운동가는 양국을 오가며, “위협받지 않고 일하며 살 수 있는 사회”를 위한 희망과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한국의 ‘백수전국연합’과 일본 백수 모임 ‘다메렌(だめ聯)’이 만난다. 일본 사회학자는 문래동 예술촌과 수유+너머에서 공존의 실마리를 찾고 일본 ‘프레카리아트(불안정한 precarious 프롤레타리아트)는 한국 젊은이의 목소리에 힘을 실어준다. 만국의 젊은이여 단결하라. 희망과 연대의 공동체로 뭉치자. 길을 찾는 사람들은 서로의 길잡이가 되어준다.

 

이양지의《유희》에서 재일 조선인 유희는 고국을 찾으러 한국에 오지만 두 나라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다 일본으로 돌아간다. 유희는 “저는 이 집에 있었던 거예요. 이 나라가 아니라 이 집에.”라며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가 아닌, ‘개체(個體)’의 만남에 의미를 둔다. 바다를 단번에 건널 순 없다. 하지만 하나하나의 징검돌은 거리를 좁혀준다. 생선은 국적도 국경도 없다. 라면 국물은 어디서 먹든 뜨뜻하다. 절망은 다른 절망에 손을 내민다. 한국과 일본 사이의 거리에서 비틀거리던 유희가 의지했던 건 ‘말의 지팡이’였다. 백지 위에 검은 활자가 저자와 독자를 잇듯, 책은 바다 양편의 사람들을 이어주는 징검돌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