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태니커 만화 백과 : 무척추동물 브리태니커 만화 백과 15
봄봄 스토리 글, 최우빈 그림, 신동훈 외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주말 4호군과 함께 '니모를 찾아서'의

속편 '도리를 찾아서'를 보고 왔었지요.


많은 물고기 친구들이 모태 건망증 도리를

도와주었지만 그중 무뚝뚝하지만 마음은

따뜻했던 다리가 7개인 문어 행크가 기억에 남아요.


행크는 주변 사물들에 따라 몸 색깔을 바꾸며

정말 위장술의 대가라는 별명에 걸맞는 행동을 했었답니다.


(사진출처: 도리를 찾아서 공식사이트)




그런데 책을 보니 영화 속 문어의 위장술이

과장이 아니었구나를 알게 되었어요.


흔히 카멜레온이 위장을 잘 한다고 알고 있지만

카멜레온은 의지와 상관없이 주변 온도나

감정 상태에 따라 몸 색깔이 변하는 반면

오징어와 문어는 마음먹은 대로 변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하니 진정한 위장술의

대가는 오징어와 문어가 되겠지요?


 






지금 보고 있는 책은 바로 브리태니커 만화백과

무척추 동물 편인데요.


동물을 분류하는 기준은 겉모습, 호흡방법,

체온 조절 방법등이 있으며, 크게는 몸을 지탱하는

등뼈인 척추의 유무에 따라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로

나눌 수 있답니다. (인포그래픽 중에서...)


등뼈가 있는 척추동물에는 정온동물과

변온동물이 있고 등뼈가 없는 무척추동물에는

해면동물, 자포동물, 편형,선형동물, 환형동물,

연체동물, 극피동물, 절지동물이 있구요.


와~ 무척추 동물에도 참 많은 종류가 있지요?


이런 단어들도 학교 다닐적에 다 배웠을텐데

다시 보니 새로운 단어들처럼 느껴지네요.







그나저나 지구상에 있는 동물의 90%가

무척추 동물이라는 사실 역시 놀라웠습니다.



 



초등학생들이 꼭 알아야 하는 교과내용을 종합해

학습 체계를 구성한 브리태니커 학습백과라

단어 하나 하나에도 한자로 구성된 단어의

설명까지 해주니 이해가 더 잘 됩니다.


 




선형동물과 편형동물에서 사람 몸속에 기생하는

기생충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기생충이라고 다 나쁜 것은 아니라 기생충

중에서도 사람의 몸을 최종 숙주로 삼는

기생충은 최대한 피해를 끼치지 않으려고

애쓰는 착한 기생충이라고 해요.


현대 의학기술로 몸속의 기생충을 완전히

박멸하긴 했지만 때문에 오히려 아토피나 비염같은

새로운 질병이 나타났다고 하네요.


알레르기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고장 났을때

일어난다고 하는데 면역체계란 몸속의 항체가

외부의 세균과 싸우는 능력을 말해요.


그런데 면역체계가 고장나면 항체가 외부

세균이 아닌 엉뚱한 것에 반응하게 되는 것이지요.



 





온몸이 고리 형태로 된 환형동물 중엔

대표적으로 지렁이가 있지요?


얼마전 3호양 학급에서는 학급 텃밭을 위해

지렁이를 키운다고 공지가 뜨기도 했었어요.


지렁이가 흙을 비옥하게 해주니 말예요.


학교에서 키우는건 좋지만 지렁이를 집에는

가지고 오지 말라 했었는데 급 반성이 되네요. ㅎ

 





흥미로운 만화백과를 마쳐도 뒷면에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 사전으로 보는 무척추동물에 대한

사전이 있으니 좀 더 자세히 살펴보는 것도 좋겠지요?

 





단순한 지식이 아닌 '앎의 재미'를 주며 진짜

공부의 세계를 만나게 해 주는 브리태니커 학습백과

무척추동물편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