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듣고 싶은 한마디 Yes!
김태원 지음 / 지식노마드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2010년의 첫해가 밝았습니다. 2009년 나름의 목표로 꾸준히 달려왔습니다만, 부족함이 더 드러나는 한해 였습니다. 2010년엔 부족함 보다는 풍족함을 더 많이 채우는 한해가 되고 싶네요. 2010년은 입사 9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러나 8년간의 사회 생활이 무색하게도 혼자만의 일에 빠져 넓게는 대인관계, 좁게는 가족, 그리고 직장 동료 관계가 늘 매끄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리고 일 자체가 혼자만의 고민으로 풀어내는지라 딱히 소통에 대해 고민 할 여유며, 장이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블로그 이웃분이신 inuit 김태원님의 '가장 듣고 싶은 한마디 yes'를 읽었습니다.

이미 이 책을 읽은 지는 한참 되었습니다. 좀 더 빨리 올려야했습니다만, 단지 읽고 내용을 갈무리 하거나, 느낀 감정만을 뱉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읽고 정리하고 상황에 따라 적용해보고 싶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발표며, 협상등의 기회가 전무합니다만, 단지 그 분야에 국한 해서 적용하지는 않았습니다. 업무에 있어 설득할 상황이나, 세미나를 통해 inuit님의 이야기를 적용해 보았습니다. 머랄까요, 습관적으로 행하던 행동에 브레이크가 걸린 기분입니다. 그리고 출발선이 새롭게 그어졌습니다. 나의 행동 뿐 아니라 타인의 이야기며, 발표들이 새롭게 다가왔습니다. 더불어 나름의 비판적인 시각까지 더해졌습니다. 읽고 익히고, 고민한지 몇 달 지나지 않았습니다만, 가능성이 무한하다는 생각으로 모아졌습니다.

지난 2009년은 새로운 가족을 맞이한 한해입니다. 생뚱맞은 이야기로 시작했습니다. 아이가 자라며, 뒤집고, 기기시작하며, 이제는 잡고 설 정도까지 되었습니다. 이 시점이 되니 고민이 하나 생깁니다. 육아, 단지 신체적으로 키우는 단면이 아니라, 교육에 대한 고민이 깊어졌습니다. 이 고민을 풀어가기 위해 여러 육아서적을 접하고, 정리했습니다. 나름의 기준도 마련하고, 그 기준에 따라 시작하고 있습니다. '가장 읽고 싶은 한마디 yes'와 육아 생뚱맞은 관계 같습니다만, 전 이 책을 읽으며, 육아에 대해 많은 고민을 덜었습니다. 답은 구뇌 입니다.

이 책은 도마뱀의 뇌, 즉 구뇌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구뇌에 속삭이는 소통의 기술이 핵심입니다. 즉 뇌과학을 바탕으로 소통의 기술을 풀어냅니다. 책에서 inuit님이 언급하신 책을 저도 몇권 읽고 기록을 남겼기에 구뇌에 대해서는 조금 알고 있었습니다만, 읽어나가면서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일목요연한 정리는 뿌연 안경을 닦아준 듯한 느낌입니다.

이미 언급한데로 시작은 구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소통을 지배하는 WHISPer원리가 바톤을 이어 받습니다. 이쯤 읽으면 이미 이 책의 진가를 알게 됩니다. 경험과 과학적 원리을 아우르는 속삭임은 이내 매혹당합니다. 스킬이란 씨줄과 개념이란 날줄을 넘나듭니다. 그러나 여기가 끝이 아닙니다. 대미를 장식하는 것은 상황별 실전 준비법입니다. 전 마지막 챕터를 가장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inuit님의 블로그를 통해서 익히 진가는 알고 있었습니다만, 하나하나 버릴 것이 없습니다. 욕심 같아서는 좀 더 많은 상황들에 대한 저자만의 노하우를 좀 더 듣고 싶었습니다.

가끔씩 블로거들의 책을 읽게 됩니다. 하루하루 쌓여가는 글들을 읽고 느낌을 전해받고, 스킬을 전수 받기도 합니다. 그러나 블로그의 특성상 압축해서 정리한 포스트를 순서에 맞게 읽기가 꽤나 고역입니다. 그 바램들이 아마 책을 만드나 봅니다.  저자의 책 또한 같은 흐름입니다. 익히 저자의 블로그를 통해 옥석같은 글들을 접하고 있었습니다만, 정리된 하나의 책으로 읽게 되니 또다른 느낌입니다.

새해가 밝고 첫날이 밝았습니다. 올한해 나름의 목표를 다들 가지고 계신지요? 저 역시나 올한해 좀 더 많은 책을 접하고 나름의 성장도 꽤하고 싶습니다. 이 책의 소회를 첫날 풀어놓은 것도 그 이유에 기인합니다. 이웃분들 중에 소통에 대해 그리고 일상 생활에 도움이 되는 책을 읽고 싶으신분들이 계실겁니다. 그분들께 이 책을 감히 강권합니다. 분명 자양분이 되는 책이 될겁니다. 저 역시나 올한해 좀더 진하게 우려 한층 성장해야겠다는 각오를 다시금 다지며, 책에 누가 되지나 않을까 걱정되는 리뷰를 마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