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하고 독한 쇼펜하우어의 철학읽기 - 쇼펜하우어의 재발견
랄프 비너 지음, 최흥주 옮김 / 시아출판사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글, 아니 책을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분야는 자기계발입니다. 무엇보다 쉽고, 독자가 원하는 것을 구미에 맞게 착착 정리해서 입에 떠넣어 줍니다. 때로는 책을 전부 읽기보다 챕터의 정리된 내용만으로도 그 책을 고스란히 곱씹을 수 있습니다. 이런 자기계발서류에 지치다 보면 찾게 되는 분야가 인문서적입니다. 전반적인 사회문제로 시야가 넓어지고, 나와 타인의 관계 그리고 사회속의 나에 대한 고민으로 조금씩 시선이 이동합니다. 그리고 이런 관심의 에지에는 철학서적이 있습니다. 저 역시나 그리 오래 책을 읽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나에 대한 궁금증과 인식의 한계에 대한 의구심에 몇권 뒤적여 봤습니다. 그러나 쉽게 넘을 수 없는 벽이 가로막혀 있습니다. 책 몇 권으로 섭렵할 수 있는 분야는 아닙니다.
 
랄프 비너의 '유쾌하고 독한 쇼펜하우어의 철학읽기'를 읽었습니다.

다 아시겠지만 철학책입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 세계를 쉽게 풀어 놓은 책입니다. 일전에 이진경씨의 책과 남경태씨의 책 그리고 몇 권의 철학 책을 읽었습니다만, 서평으로 옮기지 못했습니다. 책을 이해하고 내것으로 만드는 과정의 부족함에 어설픈 서평이 되려 읽으시는 분들을 혼란으로 빠뜨리지 않을까 고민했습니다. 그와 더불어 근본적으로 앎의 부족함에 서평을 쓰지 못한 현실도 놓여있습니다.
 
쇼펜하우어는 '문장론'이란 책을 먼저 접했습니다. 엄격한 그의 주장과 신랄한 비판의 낱말들이 지금도 생각나는 걸로 봐서는 어지간히 깐깐한 철학자이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지금까지도 독하단 말을 이어오는 걸 보면 지레짐작이 꽤 신빙성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무능력을 겸손으로 위장한다.'
 
책의 첫 챕터 제목입니다. 시니컬함이 절절합니다. 그러나 지은이는 그의 독한 논조 속에도 해학이 그리고 유쾌함이 공존 한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런 생각을 가지고 저역시나 읽어 내려갔습니다만, 저자의 의도와는 달리 신랄함, 조소 등의 느낌으로 먼저 다가왔습니다. 유쾌함보다는 그의 날카로운 시선이 더욱 가슴에 와닿았습니다.
 
문장론에서 익히 알아봤듯이 이 책에서도 그는 언어에 대한 뚜렷한 철학과 의지가 있습니다. 특히나 줄임말에 대한 그의 논조는 상당히 공격적입니다. 언어에 대한 그의 의지와 더불어 쇼펜하우어의 강점은 대중적인 설명에 있습니다.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있는 설명이 최대의 설명이라 이야기 합니다. 저 역시나 간결하며 이해하기 쉬운 글을 최고로 치기에 이 부분에서 그의 생각에 같은 울림을 받았습니다. 더불어 약간 놀란 부분은 이런 대 철학자가 가지리라 생각지 못한 부분입니다. 알 수 없는 것에 대한 경외가 그것입니다. 어설프게 알면 모든 것을 아는 것 같지만, 제대로 이해한 사람은 자신 모르는 것에 대한 경외가 존재합니다. 그런 맥락에서 신랄하지만, 스스로를 알고 그 바탕위에서 주장하는 그의 이야기가 솔깃합니다.
 
참으로 부족한 서평입니다. 아니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지 모릅니다. 아직 철학분야에 대해 이렇다 평하기 어렵기 때문에 더욱 그러합니다. 그렇지만 이렇게라도 어설픈 서평을 뱉어내는 것은 조금이나마 정리하고자 함이 우선입니다. 염세주의 철학자 그의 모든 주장을 그리고 그의 생각을 이 책 한권으로 섭렵할 수 없습니다만, 공부의 시작이 되었으면 합니다. 부족한 서평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