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비테 영재 교육법
기무라 큐이치 지음, 임주리 옮김 / 푸른육아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아이가 태어나고 육아관련 책을 몇권 읽었습니다만, 아직 말 못하는 아이와의 커뮤니케이션은 서툽니다. 저보다는 엄마와의 소통이 더 원할함을 느낍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입니다. 같이하는 절대적인 시간과 열달간의 임신기간은 아빠인 제가 대신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두 손 놓고 관조 할 수만은 없습니다. 아빠가 할 수 있는 육아, 그리고 엄마와 발 맞추어 행할 수 있는 육아에 대해 늘 고민하고 있습니다.

기무라큐이치의 '칼비테 영재 교육법'을 읽었습니다.

푸름이 아빠 최희수씨를 아시는지 모르겠습니다. 푸름이 닷컴 운영자로 푸름이라는 아이를 키운 과정을 책으로 펴내 세간의 시선을 한몸에 받았습니다. 일전에 최희수씨의 책 '푸름이 이렇게 영재로 키웠다'란 책을 읽었습니다. 그 책의 레퍼런스 중에 이 책 칼비테 영재 교육법이 있었습니다. 호기심의 발동으로 구매해 두었습니다.

임신 중 태교의 중요성에 관한 글을 많이 들었습니다만, 그다지 태교에 큰 신경을 쓰지는 못했습니다. 아이가 태어나고 말을 하고 글을 읽을 수 있게 되면,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아이와의 대화며, 전반적인 교육에 대해 힘쓰자란 생각을 줄곧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태교부터 교육은 시작됩니다. 이 주장을 이 책과 최희수씨의 책을 통해 접했습니다. 조금 늦은 감이 있습니다만, 지금부터 아이와의 대화는 시작해야 되며, 교육은 시작되어야 합니다.

얼핀 오해가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극성맞은 부모의 전형이라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자식이 어떤 인물이 되어야 한다기 보다는 자식이 좀 더 자유롭게 살기 위해 운신의 폭을 넓히고 싶은게 지금의 심정입니다. 사회의 리더가 되어야 한다는 강박보다는 아이의 시선이 왜곡되지 않고 또한 다수의 무지에 묻히지 않길 바라는 심정 또한 같이 합니다. 부끄럽지만 어쩌면 제가 펴지 못한 부분의 위로 또한 조금 있을 겁니다.

이런 생각아래 책의 주장에 발맞추어 갑니다. 그저 옹알이 밖에 하지 못하는 아이라 생각하는게 일반적입니다만, 아이는 천재라는 가정하에 이야기는 이어집니다.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아이가 자라면서 가능성이 잘리고 호기심이 차단되는 과정을 통해 보통의 평범한 아이로 자라는 것을 경계합니다. 내 아이는 천재란 부모의 모자란 식견의 발로가 아니라 모든 아이는 천재란 가정 자체가 우리 아이에게도 해당된다는 겁니다.

여러가지 주장들이 나옵니다만, 개인적으로 1장과 2장 5장의 내용이 가장 와 닿았습니다. 단순한 영재가 아닌 전인 교육의 한 방편으로서 조기교육과 인성교육, 그리고 심신의 조화를 다룹니다. 아이가 영재가 되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서 언어 능력, 풍부한 어휘력을 일 순위로 꼽습니다. 더불어 지적능력에 대한 자만심의 경계와, 선행, 도덕성에 힘을 쏟습니다.

이제 갓 9개월에 접어든 아이는 이제 시작입니다. 저 역시나 이 책을 읽고 아이와의 대화에 동참했으며, 어휘력 강화를 위해 명사부터 조금씩 이야기 해주고 있습니다. 사물에 대한 인식능력은 조금 있는 듯해서 아는지 확인 할 길은 없습니다만, 꾸준히 들려주고 있습니다. 더욱이 와이프와 함께 아이와의 대화에 적극 동참합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받아주며, 아이에게 새로운 자극 또한 꾸준히 주려합니다. 음성을 통한 단어의 인지와 더불어 각각의 수신호를 통한 시각적 인지도 함께 고려합니다. 또한 색을 통한 자극도 같이합니다. 맞는지 혹은 올바르게 하는지 확신할 길은 없습니다만, 책에서 이야기 하는 것 처럼 불굴의 인내와 의지로 아이가 말을 하고 글을 읽을 때까지 하려합니다.

책을 읽는 동안 제가 읽은 책, 혹은 아이가 읽은 책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나날들을 그려봅니다. 생각만 해도 미소짓게 되며, 뿌듯합니다. 언제 일지 기약할 수 없지만, 그 날이 우리의 노력 여하에 조금 빨리 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이의 무한한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다치지 않게 하고픈 심정 부모라면 매한가지 아니겠습니까? 잘 될 거라는 막연한 희망에 오늘도 한두시간의 노력을 더해봅니다.

ps) 이 책을 읽으며, 스토리에 관한 아이의 몰입에 육아도 도마뱀의 뇌, 구뇌와 관련지어 생각해 보면 보다 큰 효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봤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