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길들은 다 일가친척이다 - 함민복 에세이
함민복 지음 / 현대문학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일렁이는 파도 소리가 지척에 있습니다. 제게 주어진 크지 않은 공간에 야트막한 앉은뱅이 책상 하나 그리고 노트북 하나가 놓여있습니다. 파도소리의 장단에 맞춰 끄집어 낸 낱말들은 문장 속에서 줄타기를 합니다. 나의 생각이 글들로 영글어 눈앞에 나뒹굽니다. 예민한 감각은 나뒹구는 낱말과 함께 들숨과 날숨을 이어갑니다. 제가 바라는 노년, 아니 몇 년 후의 모습입니다. 물론 이런 생각은 경제적 자유가 주어진 다음에나 실현 가능합니다.
함민복 시인의 에세이 '길들은 다 일가친척이다.'를 읽었습니다.
제가 바라는 저의 모습을 이 책에서 찾았습니다. 모든 상황이 다 맞다 이야기 할 수는 없습니다만, 몇 년 후 저의 모습을 조금더 구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었습니다.
예민한 저자의 눈에 비친 세상은 혼탁한 조류에 휩쓸려 스스로를 돌볼 여유가 없는 어른들의 공간입니다. 그 속에서 오롯이 서 있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저자의 모습이 때묻은 저와 비교되어 글 들이 비수처럼 박힙니다. 읽다가 생각하다 그 화살이 저에게로 향하다 결국 자조하듯 결론을 내려버립니다. 시인, 글쟁이는 타고나는 것이다. 맘이 조금은 편안해집니다.
글 속에는 사람 살아가는 소리가 그득합니다. 물론 그 사이에 잡음 또한 공존합니다만, 순수한 저자의 향취에 그 소음은 이내 옅어 집니다. 유리알 시인이라지만 세상의 생채기엔 내성이 쌓인 듯 그 모습 그대로 스스로의 시각으로 생각을 토해냅니다.
힘없는 사람들의 세상보기, 세상 녹아내기는 시인의 글 덕에 그 힘을 느낄 수 있습니다. 거기에 감칠 맛까지 더해집니다. 그 힘은 결국 사회적 약자들의 자양분이 될 것입니다. 저자의 시선이란 안경을 끼고 세상을 몇 일봤습니다. 사람 속에 욕심이란 치부는 없앨 수 없는 것일까요? 책을 덮는 마지막까지 이 물음이 언저리를 맴돕니다. 결국 안되는 것일까? 포기하기엔 아쉬움이 남습니다. 희망이란 끈은 놓고 싶지 않습니다. 저자 역시나 고군분투하고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