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리를 위한 글쓰기 멘토링 - 이메일에서 기획서까지 카테고리 하나로 끝낸다
이강룡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김대리를 위한 글쓰기 멘토링
- 이메일에서 기획서까지 카테고리 하나로 끝낸다 -

글 좀 쓰십니까? 아주 도전적인 문장으로 시작했습니다. 인터넷 바다를 두눈 부릅뜨고 다녀도 눈에 확띄는 제대로 된 글 찾기가 어렵습니다. 저역시나 조잡한 글들로 넷 공간을 어지럽히고 있구요. 가끔가다 만난 아름다운 글 들을 볼 때면 한참을 서성입니다. 글이란 단지 생각을 표현한 결과물 입니다만, 그 단어의 모음 자체가 아릅답기도 합니다.

이강룡씨의 '김대리를 위한 글쓰기 멘토링'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앞서 언급한 아름다운 글에 대한 이야기는 아닙니다. 생각의 정수가 날카로운 단어, 그리고 단어와 단어을 이어 문장으로 재탄생하는 비법을 술한 책이 아닙니다.  최소한의 글들이 가져야 하는 기본기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화려한 치장을 위한 수식어나 범주에 어긋나는 따로 노는 이야기, 논리적 비약으로 인한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등 글답지 않은 글들이 가진 오류에 대해 간단 명료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여러 이야기들이 있습니다만, 핵심은 카테고리입니다. 범주이 지요. 구체적이고 단순한 범주 위에서 그 범주를 벗어나지 않게 글을 쓰는 것이 제대로된 글들이 가지는 핵심입니다. 일관된 논리와, 문체의 간결함 위에 논리의 비약이니, 화려한 수식어의 향연은 자리를 차지 할 수 없습니다. 사람만 다이어트가 필요한게 아닙니다. 글 또한 글이 가지는 생각이 명료하게 존재해야만 합니다. 덧대어진 생각의 고리나 미적 날개는 글의 힘을 반감시킵니다.

이런 생각아래 글 쓰기의 과정을 요약합니다.
  • 주제 선정
  • 개요 작성
  • 자료조사, 글감 찾기
  • 논증, 개연성 부여
  • 독자 지향
구체적이고 명료한 주제를 선정하고, 풀어나갈 이야기의 뼈대인 개요를 작성합니다. 집을 짓듯 원하는 집을 생각하고, 기둥을 세운 후, 벽이나 지붕을 위한 재료를 모읍니다. 그리고 모아진 재료를 적재적소에 배치해 집다운 집을 만듭니다. 재료와 재료를 잇는 것이 글쓰기에 논리로 문장을 연결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합니다. 이 모든 과정은 오로지 집에 살 사람을 위해 이루어 져야합니다. 그 말은 글 또한 독자를 대상으로 쓰여져야 합니다. 이 과정을 거친 글은 단단합니다. 어디하나 덧대거나 뺄 것이 없습니다.

단순함이 미의 출발이라고 했나요? 글 또한 그렇습니다. 저도 이 말을 새기고 새겨야겠습니다. 범주를 잘 지키며, 단순함이 뼈대가 된 글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제가 보기엔 이 책 자체가 아주 제대로된 예제입니다. 명확한 주제 선정으로 명료한 글들이 펼쳐집니다. 두껍지 않은 페이지에 금방 읽을 수 있습니다. 지루하지 않은 글에 시간가는 줄 모르고 마지막 장을 덮었습니다. 아직 얼마나 많은 시간이 지나야 제 글도 글다울 수 있을까란 생각에 잠시 주춤합니다. 그러나 그 날도 분명 올거라 생각하고 하루하루 보잘것 없는 글들이라도 채워나가야겠습니다. 글 제대로 쓰시고 싶으신 분 읽으시면, 피가 되고 살이 될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