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시작부터 치미는 울화에 덮는 마지막까지 분을 삭이지 못했습니다. 세상 원래 그런거라 스스로에게 다독여도 봤습니다만, 쉽사리 화는 수그러들지 않았습니다.

공지영씨의 '도가니'를 읽었습니다.

기분 울적해지는 책은 간만입니다. 대부분 지식을 그리고 혜안을 얻기위해 책을 선택하기에 소설은 자주 접하지 못합니다. 간만에 접한 소설에 감정의 구석구석을 헤짚어 들쑤시는 글들에 한동안 불편했습니다. 사회 주변인들에 대한 가진자들의 폭력앞에 발가벗겨져 뒹구는 느낌입니다.

장애아, 성적 소수자, 극빈층 우리가 애써 눈길을 주지 않으려, 아니 솔직히 말해 내 가정, 내 가족 돌보기도 힘든 상황에서 그들의 생활에 눈에 밟혀, 그 들을 위해 발벗고 나설 수 없는 상황이라 애써 자위합니다. 우리의 암묵적 동의하에 짓밟힌 그들의 인권은 유린의 경지에 몰립니다.

간간히 텔레비젼에서 나오는 장애아 복지시설의 고발 프로들을 볼 때면, 세상에 아직도 저런일이 벌어질까 놀랍니다. 그러나 내가 처한 환경이 아니기에 요원하기도 하며, 바쁜 일상사에 애써 외면합니다. 무의식 속에서 사회의 치부를 외면하던 와중에 도가니를 접했습니다. 장애아들에 대한 성폭력과 구타를 일삼는 자본주의의 꽃인 돈을 가진 일가의 고발로 시작합니다. 역시 돈의 힘은 강합니다. 천인공노할 짓을 일삼는 그들입니다만, 돈앞에 그들의 인권은 핍박받는 장애아들의 인권보다 중요합니다. 불안한 예측은 실현되기 일쑤고, 법앞에 평등이란 법앞에 돈가진 자의 평등이란 말로 바뀌어도 손색이 없습니다. 전관예우라는 말도 안되는 행태가 상식이 되어버립니다.

그들 주변인들의 일이라고 치부하기엔 다가오는 시간이 두렵습니다. 가진자와 가지지 못한 자의 분리는 그 간극을 더욱 넓힐 것입니다. 국가란 시스템 아래 그 차이는 차별을 불러오며, 없는자에겐 굴레가 됩니다. 결국 이를 이기기 위해서는 시민, 대중의 날선 의식 뿐입니다. 상식이 가진자의 상식이 아닌지를 차이가 차별이 아닌지를 고민하고 작은 것에서 부터 관심을 가지고 바꾸어 나가야합니다.

마지막 주인공이 비운 자리에 뒹구는 철거의 흔적들 속에 우리네 서민들의 굴곡진 인생의 흔적이 뒹구는 듯합니다. 내 가족, 내 인연이 아니라는 이유로 세상사 어두운 일 부분이라 여겨서는 안됩니다. 일개 필부가 두발 벗고 앞장설 수는 없겠습니다만, 비판할 수 있는 말과 글까지 거둔다면 세상은 그들만의 리그가 될 것입니다. 제 자신이 씁쓸합니다. 행동없는 몇마디 말뿐입니다. 그녀의 말처럼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가 아니라 곡해된 세상이 나를 바꾸지 못하게 하기 위해 쓸모없는 자책을 넘어 주변을 좀더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