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지막 강의
랜디 포시.제프리 재슬로 지음, 심은우 옮김 / 살림 / 2008년 6월
평점 :
마지막 강의
예비군 훈련을 받았습니다. 원래부터 움직이는 걸 싫어하는지라 조금이라도 움직여야하는 훈련이 웃음이 나오겠지만 힘듭니다. 반은 쉰다지만 나머지 반에 지칩니다. 특히나 훈련장 이동은 다시금 생각해도 숨이 헐떡입니다.
랜디 포시의 '
마지막 강의'를 읽었습니다.
훈련 중 쉬는 틈을 타 가벼운 책을 읽었습니다. 다루는 주제가 가볍기 보단 책이 작아 휴대하기 간편해 집어 들었습니다. 크지 않은 사이즈와 많지 않은 활자 덕에 훈련 첫 날에 다 읽었습니다.
다들 잘 알다시피 랜디 포시라는 말기 췌장암 환자의 CMU 마지막 강의를 바탕으로 구성한 책입니다. 죽음을 앞둔 교수의 삶에 대한 논의 입니다. 메말라 그렇다 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죽음을 앞둔 저자의 삶에 대한 태도가 가슴에 와닿거나 큰울림이 와닿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런 삶 저런 삶을 살아라는 이야기 보다는 그의 가족에 대한 끝없는 사랑의 대화가 심금을 울렸습니다. 죽은자는 가고 산자는 어떻게든 살겠지만 제 몸 추스리기 조차 힘든 저자의 산자를 위해 행하는 일련의 행위는 거룩하기 까지 합니다.
감정이입이 되서 그런지 자식에 대한 대목에서는 저 역시나 콧잔등이 시렸습니다. 아버지 없는 아이의 삶은 맞닥드리지 않고 솔직히 상상하기 힘듭니다. 그런 아이가 딱한 것은 당연지사 일거구요. 남아있는 아이를 위해 추억을 새기는 아비의 모습에 진정성이 흐릅니다. 일전에
쉐아르님이
아이를 사랑하는 20가지 이유란 글을 올리셨습니다. 그 글과 함께 이 책의 낱알들이 가슴이 때립니다.
책을 덮고 다시금 생각해봅니다. 지금 이 순간 소중한 가족과의 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계신지요? 흔쾌히 '네'란 대답이 울대를 때리지 못합니다. 과거도 아니고 미래도 아니고 현실을 가족과 함께 새겨나가는게 훗날 후회를 미리 없애는 길이 아닐까합니다. 글보다 글에서 발현된 생각이 흘러 스스로의 시간을 매만졌습니다. 가족과 함께하는 충분한 시간을 위해 잠깐이라도 책을 덮을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