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의 법칙 - 개정완역판 로버트 그린의 권력술 시리즈 2
로버트 그린 외 지음, 안진환 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권력의 법칙
- 사람을 움직이고 조직을 지배하는 48가지 통찰 -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접한 후 한동안 가슴이 먹먹했습니다. 문지방이 닳도록 드나들던 블로그도 세상을 이해하려는 노력들의 의미도 일순간 퇴색되었습니다. 정치에 대해 알지 못하며, 더욱이 권세, 권력에 대해서는 큰 관심도 욕심도 없는 저지만, 세상사의 허망함이 가슴에 와 부딪혀 맴돌았습니다. 정치하지 말걸 그랬다는 그 분의 말씀이 더욱 아린 가슴을 찌릅니다.

로버트 그린의 3부작 중 첫번째인 '권력의 법칙'을 읽었습니다.

권력의 허망함과 권력 다툼의 광기에 대해 절감하고 있을 때 쯤 책의 절정에 다다랐습니다. 배신, 음모, 이용, 갈취를 통한 권력에의 당도는 바깥의 생각과 충돌해 한장한장 넘기기가 힘들었습니다.

권력은 네트워크 상의 '필요'에 의해 생기는 자연스런 결과물이란 전제하에 다음의 네가지 큰 틀 안에서 술합니다.

1. 권력의 원천
2. 권력 획득의 법칙
3. 권력 유지의 법칙
4. 권력 행사의 법칙

매력적인 책입니다. 권력에 집중하고 권력을 얻기위한 48가지의 통찰들을 강하게 풀어해칩니다. 일견 잔혹한 면도 눈에 띕니다만 상황 파악 및 대처 방법은 뛰어납니다. 익히기 쉽지 않겠지만, 익힌 후라면 무서울게 없습니다. 그러나 어떤 권력이든 힘의 세계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해 스스로 익힌다 하더라도 부족한 내공으로 주화입마의 화를 당할 수도 있습니다. 어설픈 권력 게임은 스스로를 다치게 할 뿐입니다. 읽다보면 물불 안가리는 냉혹한 권력의 세계에서 인간애나 자비는 배부른 소리기에 나 이외엔 적이나 도구로 간주하는 것이 자못 이성적으로 비치기도 합니다. 권력만이 지배하는 세상은 생각하기도 싫습니다.

일개 필부인 저에게 이 책은 먼 발치에서 불구경 마냥 재미는 있지만 권력의 세계에 뛰어들고 싶은 맘은 사라지게 만들었습니다. 인간사 권력을 제외하고 논할 수 없다지만, 새로운 세상을 만들고, 더불어 살 수 있게 만드는 도구로서의 권력이 아닌 단지 힘과 힘의 대결로서의 권력은 구미가 당기지 않습니다. 쉽사리 좇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권력의 바닥에서 허우적 거리더라도 칼부림이 아닌 인간애에 대한 몸부림으로 주변을 채우고 싶습니다.

그렇기에 옮긴이의 말처럼 이 책을 조금 다른 편에 서서 곱씹었습니다.

저자에게 권력의 의미는 영향력과 주도권, 목표를 이루기 위한 토대로서의 힘,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타인을 움직이는 힘, 의도를 관철하는 힘 등을 내포하는 매우 다층적 의미입니다. 저는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타인을 움직이고, 의도를 관철하는 힘, 언뜻보면 설득의 한 방편으로서의 법칙들로 좁혀 받아들였습니다.

스스로 좁혀 받아들이고 의미를 재해석해 이해했습니다. 그러나 좁혀진 의미만이 전부가 아닙니다. 제게 버려진 내용들이 의미 없다는 이야기 또한 더더욱 아닙니다. 한번씩 읽어 볼만하고 경쟁 사회에서 융화보다는 승리, 혹은 실리를 중시하는 사람이라면 필독서라 생각합니다. 시골의사님의 말처럼 그런 사람들이 이 책을 읽었을까 두렵습니다. 더욱이 그런 사람들이 제 옆에 올까 두렵습니다.

동서양, 고금을 아우르는 예시는 이 책을 더욱 풍성하게 만듭니다. 적절한 예시로 주장의 근거를 확립합니다. 더불어 제시된 인물들을 통해 인간 군상에 대한 관심이 유발됩니다. 개인적으로 스스로에 대해 고민에서 타인, 사회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 되었습니다. 나에서 타인과의 관계, 그리고 사회 속에서의 나에게로 시선이 옮겨졌습니다.

건방진 이야기 일지 모릅니다만, 결국 어떤 책을 읽든 어떻게 받아들이냐의 문제입니다. 내가 이렇게 이해했다고 강요할 부분은 아닙니다. 책은 독자에 닿아 재해석 될 때 비로서 빛을 발합니다. 그런면에서 이 책은 명확한 문제 제기와 명료한 분석으로 독자에게 성큼 다가갑니다. 책이 해야할 소임은 충실히 해냅니다. 그 나머지는 독자의 몫입니다. 받아들이는 자세에 따라 뾰족한 창이 될 수 있고, 두터운 방패가 될 수 있습니다. 책을 다 읽고 드는 생각은 날카로운 창을 만드는 재료로 재탄생 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이해하고 곱씹을 것이 많은 만큼 소화하기 힘들었습니다. 일독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닙니다. 살아가면서 스스로를 돌아볼 때 그리고 '관계'를 이해하려 할 때, 한번씩 들춰봐야겠습니다. 로버트 그린을 마키아벨리의 현생이라 이야기 합니다. 그 말에 충분히 공감합니다. 책꽂이에 꽂힌 '전쟁의 기술'을 빠른 시일내에 펼치 길 바라며, 마무리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