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할 권리
김연수 지음 / 창비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책을 읽고 나면 입이 근질 거리는 책이 있습니다. 읽으며 생각했던 것들을 여러 사람들에게 나눠 주고 싶고, 소개해 주고 싶어서 근질 거립니다. 갓 책장을 덮은 이 책이 그러합니다. 소설가 김연수씨의 산문집 '여행할 권리'를 읽었습니다.

여행을 동경하지는 않았습니다. 가끔 바람쐬고 싶다는 생각만 들뿐 문지방을 박차고 나가는 것이 귀찮았습니다. 사진을 찍으며, 여행에 대한 동경이 조금씩 샘솟는 것이 느껴집니다. 이 책을 든 이유도 그 연장선 상에 있습니다. 여행하며, 사진찍고, 글쓰는 여유를 한껏 느끼고 싶은 요즘이기에 제목만으로 선뜻 집어 들었습니다.

작가에 대한 사전 지식이 전혀 없이 오로지 글을 통해 작가와 조우했습니다. 가벼운듯 유쾌한 글 뿌림이지만,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소설가 자신의 문학에 대한 정의 뿐만 아니라,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 그리고 그 틈에서 그의 생각들이 곳곳에 흩뿌려져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저자의 소설들이 한껏 동했습니다. 가까운 시일내에 필히 책장을 펼칠 생각입니다.

여행,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은 그 설레임은 잘 아실겁니다. 특히나 출국 게이트를 거쳐 항공기 안 이륙직전의 긴장감은 묘한 감정을 자극합니다. 단순히 새로운 곳에 간다는 물리적 이동을 떠나 내 존재를 한껏 감출 수 있는 타국으로의 이동은 정신적으로도 묘한 쾌감을 선사합니다. 일상의 탈피를 떠나 또다른 나 자신을 만날 수 있습니다.

책 속에서 꾸준히 던져지는 세 단어가 있습니다. 국경, 경계, 여행이 그것입니다. 넘나듬에 내가 있고, 문학이 있습니다. 또다른 나를 향한 여행이 문학이며, 문학이 이 욕구를 충족시켜 줘야합니다. 저자의 생각이 잘 나타나는 대목입니다. 국경, 경계의 탈피, 지역적 한계의 극복, 심적 경계의 초월, 말할 수 없는 것을 쓸 수 있어야 문학이며, 꿈꾸는 문학이란 경계에 갇히지 않은 문학이어야 함을 꾸준히 이야기합니다.

그렇게 본다면 여행은 곧 문학입니다. 여행이 내가 아닌 다른 존재가 되고자 하는 욕망이라면, 문학은 이 욕망을 채워주는 수단 입니다.

결코 가벼운 책이 아닙니다. 여행중에 가볍게 생각할 수 있는 글들이 아닙니다. 목적을 가지고 떠난 여행에서 여행 내내 그 화두를 생각한 흔적이 역력합니다. 떠나고 싶습니다. 방랑하며, 자유로운 여행도 좋습니다만, 스스로의 생각을 위해 떠나는 여행에 더 갈증이 납니다.

두껍지 않은 책이지만, 조심조심, 저자의 글들을 따라 갔습니다. 기회가 닿는대로 한번더 읽어봐야겠습니다. 그 때가 여행 중이길 바래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