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 천 개의 찬란한 태양 >을 읽다.

끝없는 어둠 속에서 길 잃고 헤매이는 사람이 있다. 그에게 태양은 희망이다. 쉽게 허락되지 않는 존재이다. 그나마 희망을 마음 속에 품고 살기에 그에게 오늘은 존재한다.

여 기 희망조차 꿈꿀 수 없는 두 여인이 있다. 내내 그녀들의 일생을 따라가다 숨이 막힐뻔한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 그나마 숨이 좀 트였다. 떨칠 수 없는 환경에서의 좌절감, 읽는 동안 그 감정에 빠져 울분과 화를 삭이며 끝까지 읽었다 아니 버텼다.

텔레비젼에서나 듣던 아프카니스탄의 상황을 뼈저리게 경험했다. 더욱이 여성의 입장에서 그 참담한 현실을 온전히 경험했다. 별 의미 없이 느껴지던 코란이며, 탈레반, 이 모든 아프카니스탄 상황이 누이가 겪은 것 마냥 몸서리 쳐진다.

지 금의 아프카니스탄 만큼은 아니겠지만 여자로 산다는 것, 사회적 약자로 산다는 것에 대한 고민으로 옮겨졌다. 나 역시나 가부장적 집안에서 약자로서의 어머니를 보고 경험해 왔다. 억압 속에 힘없이 살고 있는 우리 어머니 세대, 그리고 지금 슬픔은 멀리 있지 않은 것 같다.

왜곡된 종교, 우위 집단의 가혹한 행태, 맘이 아프다. 읽는 동안 책장을 덮고 한쉼 쉬기를 여러번 했다. 소설이지만 소설이 아니기에 맘이 더 아렸다.

삐뚤어진 인간이 삐딱한 사회에서 힘을 얻게 되었을 때, 여러 사람의 인생을 얼마나 고통 스럽게 할 수 있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라일라, 마리암의 굴곡에서 라시드가 느꼈을 우월감이 역겹다.

넘을 수 없는 힘의 공포 속에서 산다는 건 희망이 송두리째 뽑혀 나감을 의미한다. 그 속에서 희망이란 쉽게 가질 수 없는 보석과 같다. 희망과 꿈이 있는 나, 지금 여기의 공기가 얼마나 상큼한지 다시금 상기한다.

전 반부의 지루한 전개가 조금은 흠이 될 수 있지만, 이 책 상당히 괜찮다. 소설로서의 가치 뿐만 아니라 현 지구 반대편의 세태를 자세하게 그리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가치가 있을 것같다. 이런 생각이 조금 위험 할 수도 있지만, 나의 지금 상황이 그들의 상황에 비추어 얼마나 다행인가라는 안도감이 먼저 생겼다. 역시 인간이란 간사한 것 같다.

지금도 겪고 있을 그 곳에서의 억압과 핍박이 빨리 사라지길 바래본다. 뭐든 쉽게 바뀌지 않겠지만, 조그만 움직임들이 결국 상황을 바꿀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곳의 그들에게 멀리서 조용히 응원한다. 라일라에게 끊이지 않는 용기가 늘 함께 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