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
박현찬, 설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조그마한 글이라도 써보겠다는 일념 하에 서평이란 걸 쓰기 시작한지 한두 달 되었다. 그 시작은 읽은 것에 대해 잊지 않기 위해서였지만 조금씩 써오면서 내 글에 부족함이 있음을 뼈저리게 느껴왔다. 세련되지 않은 단어 선택, 단어들의 부적절한 조합, 앞뒤 맞지 않는 논리들, 한심했다. 능력보다 욕심이 앞선 결과였다. 지난 내 서평들을 곱씹어 보다 보면 얼굴이 붉어질 때도 있다. 이런 생각들이 미치다 보니 조금 더 내가 생각한 것을 잘 표현 할 수 없을까? 다른 사람들이 내 글을 통해 감정이 동하게 할 수 없을까? 라는 생각들을 자주 하게 되었다. 그런 연유에서 글쓰기 관련 책들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 책은 그 첫 단추이다.

조선시대 최고의 문장가 연암 박지원의 문장론에 근거한 소설이다. 생전 처음 들어본 장르(인문실용소설)인지라 미심쩍기도 했지만, 책을 잡고 잠시도 놓지 못하고 단숨에 읽어 버렸다. 호기심을 자극하는 전개, 쉽고도 간결한 문체들이 책을 손에서 떼지 못하게 했다. 평소 생각하던 책읽기, 글쓰기 방법에 크게 벗어나지는 않지만 저자들의 전개방식이 상당히 매력적이고, 그 내용 또한 충실하다. 연암의 글이야 그 진가를 익히 알고 있었지만, 이 책을 낸 저자들의 글쓰는 실력이 특히나 부러웠다.

그렇다면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글쓰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솔직히 여기서 몇 분간 이 책에 대해서 이야기 한들 이 책의 진가는 알 수가 없다. 열거한 주장들의 깊이는 오직 그 책을 읽어야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 깊이 있는 독서를 하라

독서에 젖어라, 느리게 읽어라, 글 하나하나에 그 의미를 생각하라, 그래야만 그 책이 말하는 의중을 확실히 이해할 수 없다. 그렇지 않고 그 주장을 반박하거나 그 뜻을 헤아렸다 이야기 할 수는 없다. 내게 절실하게 와 닿는 부분이었다. 글쓰는 법 보다는 글을 읽는 방법, 내가 책을 읽는 방법에 일침을 가하는 주장이다. 책장에 책이 한권 한권 쌓여가는 재미에 책을 읽어오던 나, 책의 내용보다는 읽고 있다는 생각에 자위했던 나였기에 깊은 반성을 하게 된다. 느리게 읽어도 좋으니 책과 동화될 수 있게 집중하고 또 집중하자. 책에 젖어 있는 사람만이 저자와 대화할 수 있다.

- 관찰하고 통찰하라.
천지 만물이 모두 책이다 관찰하고 통찰하라. 이와는 약간 다른 이야기 일 수 있지만, 대게 이과계통의 사람들은 자신의 전문 지식내에서만 그리고 그 지식을 도출하는 방법론에 한해서 관찰하고, 사색하게 된다. 전문 지식뿐만 아니라 교양, 다른 학문에도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사고 체계 또한 하나의 무기로 갈고 닦아야 한다. 인문학적, 과학적 지식을 아우르는 통합적 관찰과 통찰이 필요하다.

- 법고 창신
원칙을 따르되 적절하게 변통하여 뜻을 전달하라. 말그래도 원칙을 따르되 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형하여 그 뜻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전달하는게 필요하다.

- 사이의 묘
관점과 관점 사이를 꿰뚫는 '사이'의 통합적 관점을 만들어라. 하나의 관점과 하나의 관점을 단순히 합치는 관점이 아니라. 두 관점을 합쳐 보다 발전된 관점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 사마천의 분발심
글쓰는 자세에 있어 사마천과 같은 분발심을 잊지 말자. 모든 일에 열정은 늘 원동력이 된다. 글을 쓰든 어떤 일을 하든 분발심, 열정은 반드시 필요하다.

책보는 시간이 그리 많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하루만에 완독을 했다. 책 중간 중간 줄 그은 부분이 꽤 많았다. 글 쓰기에 관한 다른 책들을 읽어 보지 않아서 이 책이 단연 뛰어나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하지만 여타 딱딱한 이론서들에 비해 접근성 및 이해도는 상당히 높다. 주위에 글쓰기 관련 책을 추천해 달라하면 단연 이 책을 추천할 것이다. 글쓰기에 관한 이 책의 주장은 두고두고 곱씹을만 하다. 안다고 다 잘할 순 없지만 기억하고 되새기면서 내 글들도 좋아지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