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와카미 장기투자 - 시간이 부자로 만들어주는
사와카미 아쓰토 지음, 유주현 옮김 / 이콘 / 2006년 1월
평점 :
품절
일본의 경제는 우상향의 확대 발전 단계의 경제에서 성숙 경제로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고 책 전반에 걸쳐 이야기 한다. 우리 나라 역시 파이가 커지는 확대 발전 단계를 거쳐 성숙단계로 이어지고 있다.
이 시기는 주어진 파이로 뺏느냐 빼앗기느냐의 기로에 선 제로섬게임의 세계이다.
따라서 가치있는 주식을 쌀때 사서 장기 투자하는 것만이 성숙경제에서 살아 남는 방법이다.
이를 이루기 위한 무기가 풍림화산(빠르기는 바람과 같고, 조용하기는 숲과 같으며, 침략하는 것은 불과 같고, 움직이지 않기는 산과 같다)이다.
책 전반에서 V곡선(가격의 고점과 저점 사이클의 계곡)을 줄곧 외치지만 이는 실지 좀 무모한 생각인것 같으나, 싸게 사서 비쌀때 판다라는 생각만은 새길 필요가 있다. 즉 위험을 감수하고 떨어진 주식을 사는 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포인트는 떨어진 이다. 떨어지고 있는이 아닌. 그러나 언제가 저점인지 언제가 고점인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자기만의 목표를 가지고 할 수는 있겠지만 대세상승에서 작은 파이만 먹고 만족하는 부분을 간과 하고 있는 것 같다. 따라서 워렌버핏의 스승인 피셔의 buy & hold 전략으로 그 부족한 부분을 메울수 있지 않을까 한다. 물론 기본적으로 모든 자금은 당장 쓰지 않을 여유자금이라는 전제깔고 시작한다.
결론은 성숙경제에서 파이를 확보하기 위한 주식투자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하지만 부화뇌동하지 않는 풍림화산의 기지로 주식을 매매 해야할 것이다. 여기에 피셔의 방법까지 동원한다면 아마 당신는 10년 후 부자의 반열에 오를 것이다.
ps) 역시나 책을 다 읽지 않고 쓴 서평이라 그런지 내가 생각했던 부분을 책의 말미에서 언급을 하고 있다. 피셔의 buy & hold가 아닌 당대 최고의 투자가 워렌버핏의 buy & hold 전략을 덧붙인 장기 투자가가 되라고 조언하고 있다. 그리고 경기 침체기에 민간인의 장기 투자는 경기 활성화의 큰 주춧돌이 된다는 말까지 첨언하고 있다.
주식투자 하는데에 있어 하나의 스킬을 다루는 것이 아닌 기존의 포트폴리오를 수정하여 성숙경제에서 주식투자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