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의 연구 암실문고
앨 앨버레즈 지음, 최승자 외 옮김 / 을유문화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승자 시인의 에세이를 읽은 적이 있다. 서점 책장 사이를 걷다 단발의 노년 여성이 담배를 들고 있는 흑백사진을 보자 마음이 끌렸다. 삶을 초연한 듯한 흐릿한 시선, 담배 연기, 노년. 이 시인은 어떤 인생을 살았기에 이토록 자연스럽게 강렬한 포즈를 만들었을까. 그렇게 고통스럽고 쓸쓸하고 허무하고 강인한 시인을 처음 만나게 되어, 죽음과 죽음의 너머, 죽음의 죽음까지 이어지는 이야기를 읽게 되었다.

을유 '암실문고'에 새롭게 추가된 앨 앨버레즈의 『자살의 연구』는 40년 전 최승자 시인의 번역본의 개정한, 국내 최초의 완역판이다. 사회적으로 사실상 금기인 '자살'에 대한 연구, 그것도 항상 죽음에 대해 생각해온 최승자 시인의 번역이라면 고민할 필요가 없다. 인간의 마음 속 깊은 암실 속으로 시인의 번역과 함께 들어갈 준비가 되었다.

저자인 앨 앨버레즈는 영국 옥스포드 대학 영문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시 평론가로 활동했다. 그는 1960년 초 실비아 플라스와의 만남으로 책을 시작한다. 실비아의 남편인 테드 휴스는 뛰어난 시인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으나, 실비아는 '시인으로서의 존재는 지워진 채 젊은 엄마와 가정주부'로 지내던 시기였다. 저자는 휴스 부부와 자주 만나며 실비아의 시에 대해 자주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며 저자는 실비아에게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으며, 그녀에게 자살은 '성인 여성이자 자유로운 행위자로서 스스로 청할 권리가 있다고 느끼는 행위'라는 것을 느꼈다. 마침내 실비아는 시를 통해 끝없이 에너지를 방출한 후 스스로 삶을 마감했다. 저자는 실비아의 죽음으로부터 자살과 문학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한다.

자살과 자살자에 대한 공포가 처음부터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 저자는 그리스와 로마의 전통에서 '중용과 높은 절조'의 결과물인 합리적인 행위였다. 하지만 기독교의 시대로 접어들며 순교에 대한 광기와 세례를 받아 원죄를 씻은 뒤 자살하는 행위가 유행하자,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살을 용서받을 수 없는 죄로 규정한다. 이후 자살은 천년 이상 용서받을 수 없는 죄가 되었다. 하지만 과학이 발전하며 마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값싸고 덜 고통스러운 죽음의 방법들이 발견되자 자살에 대한 담론은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작가는 4장 자살과 문학에서 단테의 중세부터 시작해 사무엘 베케트, T.S. 엘리엇에 이르는 현대까지 여러 작가와 문학, 예술작품을 통해 삶과 죽음의 긴장, 죽음의 에너지가 작품으로 터져나오기까지의 과정을 차곡차곡 밝혀낸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 '어른이 되기 위해 죽음의 거의 끝까지 가야'했던 개인적인 체험을 고백하는 것으로 책을 마무리한다.

작가는 자살과 자살자에 대한 무조건 적인 비난을 하지 않는다. 그는 개인적인 경험, 역사적인 추적, 문학적인 연구를 통해 자신의 생을 걸고 세상에 저항한 운명들에 대해 말한다. 벗어날 수 없었고 끝을 향해 전력으로 내달릴 수 밖에 없었던 예술적 에너지에 대해 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을 살아내는 것이 맞다는 어설픈 윤리적인 결론을 억지로 끌어내는 것보다 용기있는 마무리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