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득의 심리학 -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6가지 불변의 법칙 설득의 심리학 시리즈
로버트 치알디니 지음, 이현우 옮김 / 21세기북스 / 200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재미가 있다.

원래 심리학에 관심이 있기도 하거니와 다양한 실험사례가 자잘한 이야기들 같은 느낌으로 다가와 읽는 재미를 쑥쑥 올려준다. 다만, 정말 이런 것들까지 다 알고 생각하고 셈을 해가며 남의 말을 들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어 피곤한 감도 없지 않다.
사람의 마음이란게 참으로 알 수 없는 것이기에 다수의 인간의 행동패턴과 사고방식을 연구하는 심리학이란 학문은 자연히 발생할 수 밖에 없는 학문일게다.
나 자신은 남의 마음을 들여다보기 위해서 보다는 심리학자들이 분석해서 내놓는 원칙들에 "아 맞어...그래 나도 그런데...아하하 딱 맞는 표현인걸?" 이렇게 맞장구 치며 나도 다수의 인간군상에 속한다는 사실에 약간은 안도하는 재미에 심리학을 좋아하는 것 같다.

이 책은 6가지 원칙을 통해 어떤 말들이 우리를 쉽게 설득할 수 있는지를 정리해 보여준다. 그리고 법칙 마다 이 법칙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방어법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누군가에게 호의(혹은 양보)를 받으면 그것을 빨리 빚갚음하려는 심리 때문에 원치 않던 상대의 부탁을 들어주게 된다는 상호성의 법칙. 워터게이트 사건을 이 법칙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한 것은 참 신선했다.
상대를 한발짝만 어떤 상황에 발을 담그게 함으로써, 즉 작은 개입을 하게 하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을 원하는 방향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는 일관성의 법칙도 참 유용하다.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르는 것이 옳은 행동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말하는 사회적 증거의 법칙은 특히 많은 것을 생각하게 했다. 길에서 불의의 상황을 만난다면...심장마비라던지 뭐든...그럴땐 누군가를 지목하여 현재 상황을 똑바로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것! 다들 멀뚱멀뚱 구경만 하는 것은 현대사회의 무관심의 책임만이 아니다. 누구나 불확실한 상황 앞에서는 사태파악을 위해 서로를 관찰하며 정보를 수집하며 타인의 행동을 따라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다수의 무지"에 의한 어이없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는 이야기...그러니 불확실한 상황을 재빨리 확실하게 바꾸라...오호라!
호감을 주는 사람의 말을 더 잘 받아들인다는 호감의 법칙...그래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인간은 당연히 이렇게 행동해 왔다. 그러나 우리가 늘 의사결정에 이 호감의 원천 중 하나인 "외모"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것도 크게) 단지 그것을 인지조차 하지 못한다(오히려 부인한다)는 것이 문제이다...(하긴 요즘 세상은 내놓고 인정하기도 하지만)
권위자, 전문가의 말을 더욱 쉽게 받아들인다는 권위의 법칙을 보면서는, 악용될 수 있는 권위자의 막강한 파워가 걱정되어 권력에 합당한 책임의식을 가져야만 그 권위를 부여하는 방법은 없는지 골똘히 고민하기도 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금지되면 더욱 하고 싶어지고, 곧 소멸될 것이라고 생각되는 물건에 더 열광한다는 희귀성의 법칙까지(어머니 깜짝세일에 속지 마세요~!)...

휴~~
두꺼운 책이라 덮고나니 뿌듯하다.
그만큼 공책에 정리한 내용도 많지만 내 머릿속은 아직도 정리가 덜 된것 같다...리뷰 길이 조정에 대략 실패...^^;;

전체적으로 보았을때 이런 일련의 심리적인 상태들은 우리 사회전체의 가치관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임을 느낄 수 있었다.
일관성 있는 태도가 사회에서 바람직한 도덕으로 평가된다던가, 남의 호의를 거절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예의바르지 못하다는 인식을 받는 것, 권위자의 말을 따랐을 때 좋은 결과가 자주 나왔다는 경험 등등.
사회의 집단적인 규율과 보이지 않는 흐름이 개인의 심리상태를 형성한다...
나 자신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일 것만 같은 일들도 실은 인류 전체의 역사와 관계가 있다니..음...내 맘이 내 것만은 아니라는 것인가?
앞으론 당연하다고 느끼는 것들에 대해 한번쯤 더 돌아보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