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천.히 그림 읽기
조이한.진중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3년 11월
평점 :
그림보기라...그림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 것일까.
그림보는 것을 좋아하지만, 미술에 대한 소양도 없고 해서 나자신 또한 늘 그림을 어떻게 보아야 할지 내나름대로 보는 방식이 맞는 것인지 고민해 오고 있었던 터다.
그래서 그림을 보는 방법들에 대해 소개한 이 책이 더없이 반가웠다.
그림의 내용과 형식을 가지고 그림을 읽어내는 양식론과, 형태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거기 담긴 의미를 찾아내기 위한 상징체계에 대한 연구들, 또 여러 학문을 아우르는 도상학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여러 사례를 통해 실제 그림들을 읽어내려가는 내용이다. 뿐만 아니라 화가의 정신세계를 들여다보기 위한 정신분석학적 접근 방법, 그리고 그 정신세계에 영향을 주는 것들에 대한 소개 까지...정말 <미술사>를 연구한다는 사람들에게 혀를 내두를 수 밖에 없었다.
그림을 읽어내려가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내가 생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깊고 방대했다. 그들의 분야는 종교, 철학, 심리등 거의 모든 분야의 인문과학에 걸쳐있다.
방대한 내용의 소개는 좋았지만 아쉬운 점이 있었다면..여성화가에 대한 단원은 그 소개의도 자체는 좋았으나 좀 뜬금없는 느낌이 있었고, 기호와 어휘체계로 푸생의 <사계>를 풀어내는 6장은 갑작스레 학문적으로 깊게 파고들어 어렵고 어리둥절한 기분이 들었다...
뭐..어쨌든 미술사가들은 이렇게 공부를 많이 하는 사람들이었군! 휴~~
이들에게 이렇게 감탄하면서도 다시금 고개를 드는 의문은 "그림을 그림 자체로 내버려 두지 않고 이렇게 어렵게 분석해내고 뜯어보고 비평해야만 하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많은 미술사가들의 의견이 과연 정답일까 하는 의구심까지 들었다. 그러나 마지막 장에서 현대미술에 대해 소개하면서 작가가 강조하는 관점이 있다. 그것은 예술작품은 작가의 표현의도만으로는 존재할 수 없고 그것을 창조적인 눈으로 받아들이는 관람자가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어차피 미술도 인간과 인간이 선/색/면을 통해 무언가를 표현하고 받아들이는 커뮤니케이션 혹은 이야깃거리가 아닐까. 이 책 한권만으로는 미술을 보는 눈을 확립했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작품의 의미는 고정된 것이 아니며 창조적인 재해석을 통해 예술작품으로서의 수명이 거듭난다는 작가의 말에 힘을 얻게 된다....
결국 나는 이런 이야기가 듣고 싶어서 이런 책을 읽은 것이 아닐까? 그래서 내맘대로 그림보기는 앞으로도 계속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