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위화>라는 이름의 중국작가의 소설이다.
중국소설 하면 장편 무협지만 떠올리는 무식한 내가 이 책을 읽게 된 배경은 한비야씨의 중국견문록에서 이 책을 재미있게 읽었다는 한 줄의 글 때문이었다.
한비야씨의 다른 책에다 이 책까지 읽게 되었으니 책 한권의 파급효과가 이만하면 참 크다.
책의 초반부까지는 도통 허삼관과 친해지기가 힘들었다.
뭐랄까...다짜고짜 덤빈다고나 할까...중국인은 원래 이런가 싶을 정도로 사람들의 말투나 행동이 직설적이다. 이런 것이 문화적 충격이겠지.
자신의 자식이 아니라고 밝혀진 일락이에 대한 허삼관의 언사와 행동이 우리의 입장에서 보기엔 너무 배려없고 직접적이다.
그러나 일락이에 대한 걱정을 부여안은 채 중반부로 넘어갈수록 나는 슬슬 허삼관이 좋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굉장한 가뭄으로 몇달 동안 거의 굶다시피 생활하는 대목에서 그가 입담만으로 자신의 생일상을 거하게 차리는 장면을 읽고는 마음이 따뜻해졌다.
이 책은 허삼관이라는 평범한 중국인이 자신의 피를 팔아 집안의 큰 일들을 헤쳐나가는 과정을 그의 청년기부터 노년기까지 따라가면서 그리고 있다.
피를 파는 이야기라 끔찍한 연상을 하기 쉽지만, 실제 이야기는 인간미가 넘쳐났다...그야말로 자신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랄 수 있는 피를 팔아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이들을 살려나가는 이야기니까.
인생이 늘 분홍빛일 수는 없고 늘 회색은 아닌 것처럼 이 소설 속의 허삼관도 궂은일 좋은일을 모두 겪지만, 가족애라는 바탕위에 작가는 일관되게 따뜻한 시선을 유지한다.
또한 별날 것 없는 인생이지만 다양한 사건,사고들이 재미나게 펼쳐져 책을 잡은 손을 쉽게 놓지 못하게 만든다.
책소개를 보면 이 고상하지도 유식하지도 고매하지도 않은 인물안에 중국인의 본 모습이 들어있다고들 한다.
나는 중국인들을 겪어보지 않아서 뭐라 할 수 없지만, 만약 허삼관이 중국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중국인들과 친해지는게 그렇게 어렵진 않을 듯 싶다.
(물론 처음엔 너무 막 들이대는 그들에게 익숙해지는 데에 시간이 걸리겠지만..^^)
어버이날이 지난 오늘, 다시금 허삼관을 떠올리니 무뚝뚝하지만 항상 가족을 아끼시는 아버지가 생각난다.
내일 전화라도 드려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