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폰더 씨의 위대한 하루 ㅣ 폰더씨 시리즈 4
앤디 앤드루스 지음, 이종인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부분적으로는 좋은 교훈을 얻을 수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너무도 작위적이란 느낌이고 또한 이 책의 궁극적인 목표(성공)에 실망한 작품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6인+1천사의 메시지는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하다. 나약하게만 느껴지는 한 인간이 얼마나 강하고 지혜로울 수 있는지, 그리고 그 답은 모두 자신 안에 있음을 일깨워주는 좋은 내용이다. 특히 안네의 성숙함과 지혜로운 모습은 감동을 전해주었다.
하지만, 그 좋은 방법과 지혜를 일러주면서 그것으로 이루어 내라는 것이 결국 명성과 부라는 것이 영 얼토당토하지 않아 앞뒤가 맞지 않는 느낌이 들었다. 잘 나가다 삼천포로 빠진다고나 할까? 중간중간 위인들이 언급하는 성공이라는 단어에 약간씩 의구심을 가질 무렵, 뒷부분의 폰더씨의 성공을 예견하는 장면에선 결국 그 결과의 형태가 금전적인 성공과 세인들의 존경으로 귀결되는 것을 보면서 내가 또다른 형태의 성공지침서를 읽었을 뿐이라는 생각에 배신감이 들었다. 몇몇 교훈들은 여지껏 봐온 성공지침서들과는 다른 맥락이기에 기대를 가져봤지만, 결국 돌고 돌아 같은 이야기를 하는 책에 불과할 뿐이었다.
그렇게 다들 성공만 하려고 드는 와중에 그 많은 고통과 좌절이 세상을 채우고 있다는 것을 작가는 잊고 있나 보다. 7가지의 멋진 교훈을 가슴에 새기는 목적이 큰 빌딩의 주인이 된다거나, 누구나가 알아보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즉 어떤 댓가를 바라는 것이란 말인가? 물질적인 댓가가 돌아오지 않으면 아무런 효과가 없는 거라고 생각하는 걸까? 역시 미국적인 책이다..(미국작가 맞겠지?)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7개의 쪽지는 무슨 행동강령처럼 온통 다짐하는 말들로만 일관되어 있어 일곱명의 인물이 쓴 것이라곤 전혀 생각할 수 없다는 점이 우스웠다. 문체에 있어 안네와 링컨이 저렇게도 일관성이 있다니..쿠하핫. 꿈속에서 계시를 주신 분이 문체지도까지 하셨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