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
-
한일관계 2천년 보이는 역사 보이지 않는 역사 - 근현대
한일관계사학회 엮음 / 경인문화사 / 2006년 5월
평점 :
“한일관계의 역사적 진실을 이해하고, 한국과 일본이 우호교린을 해야 하는 당위성을 밝힌다.”라고 집필동기를 밝히고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책은 98개 주제, 54명의 필진으로, 고중세, 근세, 근현대 3책이다.
(고중세) 교역과 문화발전, 전쟁과 외교, 한일교류와 인물
(근세) 임진왜란 승전인가 패전인가?, 조선인삼과 은, 부산 왜인촌과 대마도, 사상과 문화의 교류
(근현대) 일제의 침략은 1892년부터 시작되었는가?, 일제에 희생된 한국인, 역사인식 진실인가 왜곡인가?, 끝나지 않은 한일쟁점.
책을 다 읽고 가만 생각해 본다.
중국의 동북 3성이 우리의 옛 고구려 영토였다는 이유로 신라의 삼국통일이 아닌 고구려에 의한 통일이 되었더라면 지금처럼 분단은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전에는 했었다.
그러나 그 것은 단지 가정일 뿐이고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 신라의 김춘추나 김유신이 시기적절한 외교술과 정치통솔력 등 시대가 요구하는 리더로서의 자질로 삼국통일의 기반을 만들었다고 느낀다.
또 한 가지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백제계, 고구려계 등 유민이 대거 일본으로 유입되었고, 교류를 통해 유교, 불교를 비롯한 고급문화가 전해진 것은 전부터 알고 있는 사실이었다.
천자문까지도 일본해 일본에 전해준 백제계 엘리트, 그 들이 지금 미국의 정치, 경제, 문화 전반을 좌지우지하는 현재의 유태인이 아니었을까?
막부를 조정하고 일본 천황가까지(아키히토 천황은 자신의 몸에 백제계 피가 흐르고 있다 라고한 말처럼) 세력이 미치는..,
그런 그 들에게 임진왜란(도자기전쟁), 어쩌면 한일합방이란 인정하기 싫은
후진국 신라의 삼국통일과 고토수복의 노력과 결실이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너무 과장된 비약일까?
어찌 되었든 현재는 다른 국가, 다른 민족임에는 분명하지만 우리 한반도와 일본, 그리고 중국은 서로 서로 윈윈하는 노력이 필요할 때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명제임에 확실하다고 짧디 짧은 생각을 정리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