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권미선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롱초롱 반짝이는 눈으로 아내가 묻습니다.   

" 당신 내 눈 좀 똑바로 봐봐요. 내 눈에 빛이 보여요? "

늦은 밤 책을 읽던 아내가 뜬금없습니다.  

" 으응? 갑자기 무슨 빛? "

" 아이참, 한 번 잘 보라니까요! "  

" ? "

" 당신, 나중에 이 책 좀 잘 읽어봐야 해요. 흥! "  

"..."

 어젯밤 아내의 느닷없는 야단에, 오늘밤 저는 몰래 졸은 맘으로 책을 읽습니다. 

<브리다>. 언어의 연금술사라는 파울로 코엘료의 2010년 새 책이에요. 여러분, 혹시 '소울메이트(Soul-Mate)'라고 들어보셨나요? 

때는 1983년 8월부터  1984년 3월까지, 장소는 아일랜드 더블린 근처, 주인공은 마법을 배우고 싶어하는 21살의 예쁜 브리다, 등장인물은 태양 전승 마스터(일명 마법사), 달 전승 마스터(일명 마녀) 위카, 물리학과 조교로 일하는 브리다의 연인 로렌스, 그리고 브리다의 엄마, 기타 잠시 잠깐 등장하는 등장인물 ①, ②, ③ 등등. 

제가 '소울메이트'라는 말을 꺼낸 이유는, 이 책의 줄거리가 소울메이트를 찾아가는 브리다의 이야기기 때문이에요. 

“ 우리는 연금술사들이 '아니마 문디', 즉 '세상의 영혼'이라 부르는 것의 일부를 이루고 있지. (...) 사실, 아니마 문디가 분화만 계속한다면 그 수는 늘어나겠지만, 또 그만큼 점점 약화되기도 해. 그래서 우리는 그렇게 나뉘는 것처럼, 다시 또 서로 만나게 되는 거야. 그리고 그 재회를 ‘사랑’이라 부르지. 영혼이 분화할 때 언제나 남자와 여자로 나뉘기 때문이야. (...) 매번 삶을 살아가면서, 우리는 다시 만나야 한다는 신비로운 사명을 지니지. 적어도 나뉜 조각들 중 하나는 꼭 만나야 해. 그것을 여러 조각으로 나눈 ‘위대한 사랑’은 그것들을 다시 하나로 결합하는 ‘사랑’에 기쁨을 느끼지.

: 브리다, 59쪽, 파울로 코엘료, 문학동네, 2010.10.27. (1판2쇄)

파울로 코엘료의 작품에서는 항상 영혼과 사랑을 읽을 수 있었어요. <연금술사>에서는 꿈을 좇아 여행하는 주인공 ‘산티아고’의 영혼과 사막 아가씨의 사랑이 있었고, <오 자히르>에서는 베스트셀러 작가인 주인공의 타락한 영혼과 에스테르의 사랑이 있었잖아요. 또한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도 마찬가지죠. 마침내 죽기로 결심한 방황하는 영혼, 베로니카와 순수한 청년 에뒤아르와의 사랑이 있었죠. 

이번 책 <브리다>에서는 사랑과 영혼의 본질에 한 발자국 더 다가서려는 파울로 코엘료의 노력을 느낄 수 있어요. 물론 작정하고 등장하는 태양 전승이니 달 전승이니 하는 마법 수련의 방식들, 엘레우시스(Eleusis) 비의(秘儀)를 떠올리게 만드는 마녀들의 안식일 집회 등은 어떤 분들에게 ‘이거 소설 맞아? 신비주의 아니면 마법 입문서 아냐?’ 라는 느낌을 줄 수도 있겠어요. 하지만, 영혼에 깊이 접근해보려는 서양의 한 방법이라 편히 읽어 넘기신다면, 사랑과 영혼, 종교와 신비주의를 넘어 내 마음 깊은 곳에 조용히 말을 건네는 파울로 코엘료, 그만의 독특한 언어를 다시 만나실 수 있답니다. 

하여튼 아내의 야단과 코엘료의 속삭임에 단번에 책장 덮은 깊은 밤, 곤히 잠든 아내를 깨워 꽉 안아주고 싶지만, 살며시 잠든 얼굴에 뽀뽀 한 번 해줍니다. 여러분, 주인공 브리다는 자신의 사랑을 가득 채울 수 있는 소울메이트를 과연 만날 수 있을까요? 행여 소울메이트를 만난다면 어떻게 자신의 소울메이트를 알아볼 수 있을까요? 

아참! 눈빛! 아내는 아마 모를 거에요. 

지금 자기 왼쪽 어깨 위에 얼마나 크고 환한 별 하나가 빛나고 있는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