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연 날개달린 그림책방 47
김민우 지음 / 여유당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곧 설날이다. 설하면 떠오르는 놀이 중 대표적인 것이 연날리기다. 연날리기의 기원에 대해 궁금해 자료를 찾아봤다.


옛기록에 의하면 본격적으로 연을 날리는 시기는 정월 초하루(설날)부터 대보름까지였으며, 그 이후 연을 끊어서 날린 후에는 더 이상 날리지 않았다고 한다. 


연날리기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사기 열전> 김유신조에서 찾아볼 수 있다. 647년 선덕 여왕이 죽고 진덕 여왕이 즉위하자, 비담과 염종이 반란을 일으켰고, 김유신 장군이 반란군을 평정하기 위해 연을 만들어 전략적으로 활용했다는 내용이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참조)


그림책을 읽을 때 처음에는 아무런 정보 없이 책을 보는 것을 좋아한다. 그 다음 볼 때는 그림책과 관련된 자료를 찾아본다. 매번 그렇게 하는 건 아니지만 요새는 그 비중을 조금씩 늘려가고 있다. 


김민우 작가의 <하얀 연>은 설날을 앞두고 선물처럼 찾아온 그림책이다. 하얀 연이 그려진 표지를 보고 있으니 어렸을 때 아빠와 형과 연을 날렸던 기억이 재생되기 시작한다. 

그림책의 좋은 점은 나조차도 잊어버리고 있었던 기억들을 다시 이어준다는데 있다. 


<하얀 연>에는 할아버지가 만들어 주신 세상에 하나뿐인 하얀 연이 나온다. 그림책 표지에 그려진 바로 그 하얀 연이다. 그림책 속 주인공인 나와 동생은 연을 날리며 놀이에 흠뻑 빠져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그림책에 그려진 어린아이들의 표정만 봐도 얼마나 신났는지 그 생생한 기쁨이 보는 이에게도 그대로 전달된다.


<플레이, 즐거움의 발견>을 쓴 스튜어트 브라운과 크리스토퍼 본은 놀이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당신의 삶이 즐겁지 않은 이유는 놀이를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놀이는 인생에 흥분과 모험을 되살리고, 낙관적인 생각을 갖게 하며, 창의성과 혁신의 핵심이다. 놀이는 더 이상 비생산적이고 시간 낭비가 아니다. 세상에서 조화롭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자아를 찾는 통로이자 우리 삶의 성공과 행복을 위한 촉매제다."


그들의 말에 따르면 연날리기에 몰입한 어린아이들은 건강하게 성장해 나갈 것이다. 자신들이 날려보낸 연처럼, 부모의 품을 떠나서도 각자의 길을 씩씩하게 찾아갈 것이다. 할아버지가 만들어 준 세상에서 하나뿐인 하얀 연도 저 높은 곳에서 그들을 지켜봐 줄 테니 말이다.


할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어린아이들의 놀이와 성장을 이어준 하얀 연을 그림책에서 꺼내와 삼남매와도 날려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