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로 살아남기 - 한글과컴퓨터, 블리자드, 넥슨, 삼성전자, 몰로코 출신 개발자의 30년 커리어패스 인사이트 (패스트캠퍼스 The Red 콜라보), 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작
박종천 지음 / 골든래빗(주)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골든래빗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흔히 개발자라고 하면 끊임없이 공부해야하고, 계속해서 성장해야 한다고들 하지만 그래서 무엇을 공부해야하는지, 어떻게 성장해야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은 드물다. 스터디, 기술 블로그 운영,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여 등등.. 개발자의 수만큼 다양한 성장 방법이 있겠지만, 나는 오래 개발을 하고 싶은데, 정말 저것만으로도 괜찮은걸까 하는 생각도 했다. 단편적인 성장 방법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커리어를 봤을 때 필요한 것들은 어떤 것이고, 지금 나는 무엇을 해야 할까에 의문을 갖고 있다면 지금 당장 이 책을 읽어야 한다.

저자는 커리어를 크게 3단계로 나눈다. 엔지니어링 역량을 쌓으며 성장하는 10년, 매니지먼트 역량과 함께 리딩하는 10년, 비즈니스 역량으로 서포트하는 10년. 그리고 각 단계를 또 3개의 세부 역량으로 나눈다. 세부 역량에 대해 저자의 생각뿐 아니라 다양한 회사에서의 경험을 적재적소에 배치해 '내가 시니어가 되면 이렇게 해야지.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 이런 걸 해두면 좋겠구나.' 하며 읽기에도 좋았다. 주니어로서 첫번째 장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의외로 2장(고객이 원하는 제품 디자인)이었는데, 개발해야 하는 기능에만 치우쳐, 제품 디자인 부문에 있어서는 좀 소홀히 생각하지 않았었나 하는 반성을 하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기술 외의 것들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에, 개발만 잘 하면 계속 일 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충분한 답이 되었다.

작년 이맘때 쯤, 사용해본 적 없는 기술 스택을 주로 쓰는 기업에 입사해 내일 개발할 기능을 위해 퇴근 후에도 공부를 해야만 했었다. 늦은 시간까지 공식 문서와 기술 블로그를 헤메다 울적한 마음을 안고 침대에 누웠던 그 때, 가족과 친구들의 '괜찮아. 다 잘될거야.'하는 위로가 아무런 위안도 되지 않았던 그 시기에 이 책을 만났다면 어땠을까? 개발자로써의 삶이 고달프다 느껴질 때, 먼저 이 길을 걸어간 선배의 경험이 섞인 담담한 조언이 어두운 밤바다의 등대처럼 느껴졌을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성낙현의 JSP 자바 웹 프로그래밍 - JSP·서블릿 기초부터 MVC 게시판, 웹소켓 채팅, 이메일 발송, 오픈 API 활용, 배포까지 Must Have
성낙현 지음 / 골든래빗(주)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골든래빗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교재를 고를 때 보는 몇 가지가 있다. 발행일(또는 개정일), 발전이 빠른 분야다보니 작성과 검수가 끝날 때쯤엔 올드한 정보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목차, 단순히 언어만 배우고 끝나는 책이 아니라 작은 프로젝트라도 하나 따라해 볼 수 있는지. 각 챕터의 처음과 끝, 도입부에서 새로 배울 개념에 대한 설명이 있는지 마무리를 하면서 간략한 정리가 있는지. 그리고 성낙현의 JSP 자바 웹 프로그래밍은 내가 체크하는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책이다.

개발 언어에 관한 책도 여러가지 단계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 책의 타깃은 왕초보다. chapter 0. 개발 환경 구축부터 시작한다. 하나하나 잘 따라할 수 있도록 친절한 캡쳐 화면과 부가 설명이 제공된다. 낯설 수 있는 용어나 개념은 따로 공간을 할애해 설명한다. 전체적으로 각 장의 도입부에서는 학습 목표, 학습 순서, 이번 장에 배우게 될 기본 개념을 간략하게 알려주고, 본문에서 이번 장에 배우게 될 내용들을, 필요하다면 이미지를 곁들여 설명한다. 코드 옆 짧은 공간에 모든 설명을 우겨넣기보다는, 번호를 붙여 상세 설명을 곁들인다. 실행 화면도 그냥 화면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이 값이 어디에서 나왔는지를 다시 한 번 언급해주어 더 좋았다. 장을 마무리하면서는 이 장에서 배운 내용들을 마무리하는 학습 마무리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배운 개념들을 한번에 정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장을 다시 공부하고 싶은데 목차만으론 어떤 장인지 잘 모르겠을 때 이 장과 도입부를 참고하면 쉽게 찾고자 하는 장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각 장의 구성뿐 아니라 책의 전체적인 구성도 좋다. 개념을 배우며 따라 공부하다보면 자연스럽게 하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기본 개념이 끝나면 추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기본 CRUD를 익힐 수 있는 게시판과 소켓 통신을 익힐 수 있는 채팅 프로젝트가 있다. 두 기능 모두 주니어 개발자 포트폴리오에서 어렵지않게 볼 수 있는 기능이면서 그만큼 기본기가 되고, 중요한 기능이기도 하다. 약간(?)의 아이디어와 기획, 추가 기능을 덧붙인다면 그럴싸한 JSP 프로젝트도 하나 진행할 수 있을 정도라 생각한다. '한 권으로 끝내는 JSP 초보 탈출하기' 랄까.프론트엔드 개발자라 JSP는 낯설었지만, 책에서 차근차근 설명해주어 자바 웹 개발의 절차를 체험해볼 수 있어 공부하는 동안 낯선 개념들이 익숙해지는 경험을 많이 했다. JSP를 자바 웹 프로그램의 기본이라고들 하던데, 이 책을 디딤돌 삼아 자바 웹 개발에 대해 좀 더 잘 아는, 좀 더 깊게 볼 수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드 크래프트 - 신입 개발자를 위한 코드의 기술
피트 구들리프 지음, 심지현 옮김 / 길벗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을 때마다 다른 곳에 밑줄을 긋게 될 책

개발자는 끊임없이 성장해야만 한다고 입을 모아 말하지만, 그래서 어떻게 해야 성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누군가를 붙잡고 물어보는데만도 한계가 있다. 그래서 내가 선택한 방법은 개발 서적을 읽는 것. 입사 초기에는 언어, 기술 스택과 관련된 도서를 많이 읽었다. 그러나 지금 나에게 필요한 건 그런 책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성장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방황하던 중 '코드 크래프트'를 만났다. 그리고 어느 정도는 그 갈급함을 해소할 수 있었다.

이 책은 프로그래머가 가져야 하는 올바른 사고방식, 즉 철학에 대해 이야기한다. 미시적 수준에서부터 거시적 수준으로 나아간다. 이 책을 읽으며 '읽을 때마다 다른 곳에 밑줄을 긋게 될 것 같다.'고 생각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1년차 개발자인 나에게는 코드페이스 레벨의 미시적인 내용이 가장 많이 와닿았지만, 연차가 쌓이고 경험이 쌓일수록 뒷장을 읽으며 그 중요성에 더 공감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한번 읽고 끝인 책이 아니라, 두고두고 반복해서 읽을 수 있는 멋진 지침서다.

이 책에서 특히 마음에 드는 부분은 매 장의 끝에 있는 '생각해 보기'였다. 단지 생각할거리만을 던져주는 것이 아니라 친절한 '정답과 설명'도 제공된다. (덕분에 책이 많이 두꺼워지긴 했다.) 이 부분은 혼자 생각하고 답을 맞춰보는 것도 좋겠지만, 다른 개발자들과 의견을 나눠보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올해 안에는, 늦어도 내년 초에는 이 책을 가지고 스터디를 운영해보리라.

한 권의 책을 반복해서 읽으며, '내 책'이 되어가는 과정을 즐긴다. 자주 찾아 읽는 부분이 너덜너덜해진다거나, 여기겠거니 하고 펴면 원하는 내용이 나온다거나 하는 것들 말이다. 아직까지도 전자책보다는 종이책을 선호하는 큰 이유이기도 하다. 옆에 두고 오래 읽으며, 전반부뿐 아니라 후반부까지도 너덜너덜해진 책을 후배 개발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선배 개발자가 되고 싶다.

[본 서평은 길벗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