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끝 여자친구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구가 이 책을 선물해 줬을 때 기뻤다. 읽고 싶다고 생각하던 책이 이렇게 내 손으로 쏙 들어올 때 나는 감사하고 책과도 분명 인연이 있는 거라고 믿고 싶다. 어렸을 적에도 이상 문학상이나 동인 문학상 같은 문학상 작품집에 '김연수' 라는 이름을 한번쯤은 꼭 봤던 기억이 난다. 2009년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에도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이라는 단편을 읽었었고 작가의 문체가 시적이고 유려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내용은 풀지 못하는 수학 문제처럼 나에게 남겨졌다.

 이번 <세계의 끝 여자친구>는 그의 9편의 중단편을 모은 소설집이다. 쉽게 읽히는 내용은 분명히 아니었다. 하지만 중독성이 있어서 읽고 또 읽고 싶게끔 만드는 힘이 강하다. 특히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이라는 단편과 '내겐 휴가가 필요해', '달로 간 코미디언' 세 작품을 통해 작가가 독자에게 손을 내밀고 소통하고자 하는 의지가 와닿았다고 할까. 그러나 다른 단편들도 너무 잘 써서 나는 이 책을 읽고 결심했다. 이 작가의 다른 장편 소설들도 꼭 읽어보고 싶다고. 그만큼 난 <세계의 끝 여자친구>가 좋다.  

 책을 처음 본 소감은 기획력에 조금(?) 감탄했다. 표지는 분홍색 바탕에 사막 한가운데에 머리카락을 바람에 날리는 여자의 옆 모습이 무언가 상상력과 구매 욕구를 자극했으며, 이는 여자의 얼굴이 보이지 않아 더 궁금하고 호기심을 자극했다. 더구나 책 제목은 시 제목같기도 하고 또는 사랑 이야기가 연상되기도 하는 <세계의 끝 여자친구>란다. 그러나 그 속에 담긴 알맹이, 이야기, 스토리는 더 나를 감동시켰다. 뜨겁고, 뜨겁고, 뜨거운 감동이다. 물론 적어도 나라는 사람한테는 그렇다. 죽음이나 누군가의 부재, 사랑의 상실, 세계가 흔들리는 아픔을 겪었던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에서 여자는 엄마가 고통속에 죽어갈 때 자신이 그 고통을 이해할 수 없었다는, 같이 공감할 수 없었다는 것에 상처를 받는다.  

전적으로 개인적인 고통. 엄마가 죽던 그 순간까지 나는 정신을 잃은 엄마의 손을 어루만지며 침이 마르도록 사랑한다고 말했으나, 그 마지막 순간까지도 나는 엄마의 고통만은 이해할 수 없었다. 고통보다는 죽음이 이해하기 더 쉬운 모양인지, 막상 엄마가 숨을 거둔 뒤에는 그간 병상에 누워 있던 엄마와의 거리감이 느껴지지 않았다. _177p 

엄마의 육신이 점점 식어가던 그 날 오후 여자는 구름이 낮게 깔린 하늘로 붉은 노을을 발견한다. 그리고 그 노을을 바라보며 "이상한 노을이다. 그치?" 라고 소리친다. 하지만 남편과 오빠는 그녀가 본 노을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런 순간이 있다. 내가 본 슬픔과 감정과 기억, 추억들이 투영된 풍경들을 다른 사람들은 같이 바라보지 못한다. 그 순간이 그렇게 고독하고 외롭고 쓸쓸할 수가 없다. 고통과 마찬가지로 슬픔도 함께할 수 없는 것이라는 사실에 여자는 더 깊은 절망에 빠진다.   

그러다 자신이 바라 본 슬픔처럼, 너울거리는 붉은 빛을 찍은 '흑두루미와 함께한 날의 노을 시리즈'라는 사진을 발견하게 된다. 누군가 자기와 본 것과 같은 노을을 봤다는 사실은 분명 충격이자 위안이자 온 존재가 떨릴 만큼 놀라운 일이다. 그리고 그 사진작가의 일생에 관한 이야기, 평전을 써보고자 마음 먹고 그의 사진집은 물론 인터뷰, 그의 행적을 따라가 본다.  

"저는 많은 것을 기억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많은 것을 망각하기 위해서 사진을 찍습니다."라고 말하는 사진작가의 슬픔을 이해하기 위해. 일본 후쿠오카 공항까지 간 그녀는 김경석을 만나 흑두루미를 바라보며 사진작가에 관해 듣는다,

그날 본 노을을 자신은 평생 잊을 수 없다고 하더라구요. 왜 그런지는 애기하지 않았어요. 제 말이 별 도움이 되지 않았죠? 아니요. 계속 얘기해봐요. 그리고 여기 와서 그 사람이 어떻게 했어요? 내가 김경석씨에게 다그쳤다. 해가 질 때까지, 둘이서 기다렸어요. 저기쯤인가? _197p  

 여자는 그가 찍고자 했던 사진들 속의 친구와 가족들, 그리고 그의 말을 빌리자면 '평생 잊지 못할 노을'을 이해한다. 노을을 기다리며. 다시 집으로 날아가는 새들을 기다리며 소설은 끝난다. 그의 다른 단편들도 마찬가지로 결말은 항상 확실한 결말을 던지지 않고 끝난다. 그 다음에는 어떻게 흘러갈까. 독자가 남은 상상력으로 마침표를 찍는 기분처럼 나는 그렇게 소설을 하나씩 하나씩 몸이 떨리는 감동으로 마침표와 쉼표를 찍으며 읽었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너는 상상하는 대로 세계를 볼 수 있어'라고 되뇌이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