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나는 오늘 나에게 ADHD라는 이름을 주었다 - 서른에야 진단받은 임상심리학자의 여성 ADHD 탐구기
신지수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내에서 ADHD 에 관한 담론이 시작된지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났다. 누구나 다 ADHD의 개념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책의 저자인 신지수씨는 임상심리학자로, 정신과 병원에서 내담자들과 상담하며 그들의 병명을 찾아내는 일을 한다. 그러다가 어느 날, 본인이 ADHD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고, 스스로 진단을 위한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그 결과, ADHD가 의심된다는 결과를 확인하고 치료를 받기위해 적극적으로 나선다. 


임상심리학자이며 임상심리 전문가로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저자도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ADHD 를 자각하는데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만큼 ADHD 라는 질환은 특히나 '집중력이 부족한 남자 어린이'의 모습을 하고 있어 그 스테레오타입에서 벗어난 사람들의 경우 진단을 하기가 쉽지 않다는 메시지를 이 책을 통해 전한다. 


먼저, 스테레오타입에서 벗어나 초기 발견이 어려운 여자 ADHD환자들의 일반적인 모습, 어떤 문화적/역사적 배경에서 이런 유병률 차이가 발생했는지 등을 자세히 다룬다. 사회적, 집단적 차원으로 관찰하고 고찰하는 과정으로, 책 전반부~중반부를 이룬다. 나는 ADHD 증상과는 거의 정 반대되는 성격을 가졌으므로, 이 부분이 더 흥미롭게 다가왔다. 


다음으로는 개인적인 차원으로 넘어가 ADHD를 가진 여성들이 전형적으로 겪는 경험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저자가 개인적으로 어떤 치료를 받았고 어떤 개인적인 노력을 '일상'을 다시 얻기 위해서 노력했는지 등을 서술한 것이 책의 후반부이다. 개인적인 경험이나 조언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부록으로 들어있는 약물일기를 (아마도 저자 개인적인 기록이라서 조심스럽게 첨부했겠지만) 흥미롭게 읽었고, 덕분에 주변에 ADHD를 가진 사람이 있다면 내가 이해해줄 수 있는 폭이 늘어난 것을 느꼈다. 


저자가 에필로그에서 적고 있다시피, 사회적으로 조명을 적게 받아온 '여성 ADHD'를 알리기 위해 서술되었고, 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책 제목과 표지 디자인을 기준으로 독자들은 책의 전반~중반부에 나오는 학술적인 내용을 기대하기 보다는 후반부의 개인적인 기록이나 상담 일기 등을 기대할 확률이 높을 것 같다. 사실 나도 처음에 읽기 시작했을 때 본인의 ADHD 장애발견, 치료 과정, 약물치료, 개인적 차원의 노력 등 경수필 류의 글을 기대했다가 갑자기 학술적인 이야기가 많이 나와서 놀랐다. 


그리고 저자가 초반에 언급했다시피 이 책만으로는 ADHD 자가 진단이나 치료의 목적으로 쓰일 수 없으므로, 주변의 ADHD를 가진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하는 데에, 주변의 어린이나 여성이 ADHD 를 가진 것은 아닌지 감지하고 상담을 받도록 도와주는 데에 쓰일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