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반양장)
쑤퉁 지음, 김은신 옮김 / 아고라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지금 현재 삶이 무료한가?

독서는 나하고는 먼 일이라고 느껴지는가?

그렇다면 '쌀'을 읽기를 추천한다.

참으로 흥미진진하고, 잔혹하며, 인간의 본성을 드러내고,

그리고 무엇보다 재미있다.

읽다보면 내가 독서에 취미가 없었나? 싶기도 할 것이다.

 

쑤퉁은 이혼지침서라는 책을 통해 처음 만났다.

홍등 영화를 보았으니, 사실 남이 처음은 아닌것이다.

그러나,

쌀을 통해 쑤퉁의 조금은 희미한 인상이 확 강하게 와 닿았고

책표지를 통해 사진을 보기에 이르렀다.

 

홍수로 인해 고향을 등지고 도시로 나온 우룽...

처음 조금은 순진한 구석이 있던 그였지만,

대홍기쌀집에서의 생활이 그를 점점 악한 인간으로...

어쩌면 본래 숨어있던 본성을 드러내게 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대홍기쌀집에서 쯔윈과 치윈의 만남, 그리고 변해가는 삶...

펑사장이 죽이고자 한것은 우룽의 악을 예견한 때문인가?

아니면..그러한 일들로 인하여 점점 악하게 변해가는 것인가?

 

읽는 동안 박경리선생님의 '토지'와 자꾸 비교되었다.

서희는 '토지'와 '고향'을 잃었지만..그걸 찾으려 삶을 보냈고..

우룽은 '쌀'을 얻었지만, '인성'을 잃어가는...

 

출판사 리뷰를 통해 알게 된 것..쌀의 의미...

이 작품에서 대홍기 쌀집이 있는 와장가는 문명화된 도시를 대표하고,

쌀은 물질, 즉 돈을 상징한다.

그리고 그 반대편에는 우룽의 고향인 농촌이 인간성이 살아있는

이상향으로 존재한다.

 

나에게 있어 문명화된 도시와 물질은 무엇일까?

그리고 인간성이 살아있는 이상향은?

 

흥미진진하고 책장이 술술 넘어가게 재미있는 책을 읽는것으로 한해를

시작하게 되어서 만족스럽다..

 

ps : 멀쩡한 이를 금틀니로 바꾸는 우룽을 보면서...참..가여웠다..

 

인상깊은 구절

 

의사는 망치와 정을 들고 우룽의 이를 하나하나 뺐다.

우룽은 정말로 신음 소리를 내지 않았다. 우룽의 입 안 가득 피가 차올랐다.

극도의 통증이 전신을 휘감는 동안 그의 몸이 가볍게 떠오르기 시작했다.

그가 물 위를 떠도는 동안 물 속에 잠긴 고향 마을이 나타났다.

온통 물난리가 난 가운데 물 속에 고개를 처박고 있는 가엾은 벼와 면화,

아무것도 수확할 게 없는 가엾은 사람들이 절규하고 있었다.

그는 자신이 어둠 속에서 다 떨어진 보따리를 하나 들고 더러운 맨발로

도망치는 것을 보았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가로등 아래에 죽어 있던 낯선 남자의 시체도 보았다.

그리고 쌀자루에 들어가 쌀을 훔쳐 먹다가 목이 메어 죽은 소년도 보았다.

그의 눈에서 더러운 눈물이 거침없이 흘러내렸다.
“아프시죠? 제가 아플 거라고 말했잖아요.”
의사가 잠시 손을 멈추고 불안하게 그 눈물을 쳐다보았다.

우룽이 고개를 가로저으며 다시 눈을 감고 입 안에 든 피를 그대로 삼킨 후,

어렵사리 이해하기 힘든 한 마디를 내뱉었다.
“너…… 무 가여워!” --- pp.225-2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