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 - 강물은 그렇게 흘러가는데, 남한강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간전에 출판사에서 제공된 가제본 의 책을 읽고 쓴 글임을 밝힙니다. )

유홍준 선생의 새 책이 나왔다.

예전 책에 비해 투박해진 구어체 말투, 
치사하고 아니꼬와서 담배를 끊었다는 둥,  평소 농담을 그대로 책으로 옮겨와 읽는 재미가 더해졌다.


문학적 완성도가 뛰어난 최고의 기행문 ( 저자 본인은 기행문이 아니라 답사기 라고 이번 책에서 밝히기도 했지만)
은 아닐지언정,  전에 비해 친숙하게 접하고,  편하게 책장을 넘길 수 있다.
그만큼 대중적이 되었지만, 그렇다고 문화재에 대한 설명이 줄어들지는 않았다.
문화재에 대한 설명이 길어졌다고 해서, 장황하지 않는다. 
장황하지 않지만 , 에둘러 가거나 핵심을 비껴 가지도 않는다.
그러면서도 툇마루에 앉아 편하게 옛 이야기 하듯 풀어낸다.

 

만일 경주로 여행 갈 때, 꼭 없어도 될 물건이 있다면,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이다.
글이나 말로 설명 되어지는 것 보다 아름답지 않은 곳은 없다.
아름다운 풍광을 눈앞에 두고, 마음으로 충분히 느끼기 전에 글로 설명 되어 진 텍스트를 보는 것을 탐탁치 않게 생각 한다.

그럼에도, 충분한 길잡이가 된다. 사전에 읽어도 좋겠다.  다녀와서 읽어도 좋을 책이다.

이번 여덟번째 편도 마찬가지다. 
굳이 말하자면,  이번 편도 역시 사전에 읽고 가는 편이 좋겠는데,  그것은 유홍준 선생의 해박한 지식이 지혜로운 길잡이가 되어주기 때문이다.
심지어 어떤 장소에 대해서, 네비게이션 대신,  중앙고속도로를 타고 무슨 IC 에 나와서 무슨 마을로 지나가라는 식의 설명은
이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도,  그 어떤 곳에서도 검색되지 않는 정보들이다.
발품을 들여가며 답사를 한 사람의 정성이 고스란히 책에 전해지는 부분들이다.

 

영월, 원주 등 행정 구역상 강원도 지역이 소개 되긴 했지만,
유홍준 선생 답사기 최초로 충청북도 지방이 소개 되었다.
가까운 듯 , 먼 장소이기도 하고,
한 번 쯤 지나가는 말에 귀라도 기울여 이름이라도 들었음직하지만, 실제로는 모르는 곳들이 많았다.
3부 남한강변의 폐사지에 나오는 폐사지 대부분이 그런 곳이었는데, 당일로도 충분히 왕복이 가능한 곳들이 많았다.

국내 기행문의 ( 저자가 기행문이 아니라고 했음에도, 다시 한 번 기행문이라는 단어를 씀에는
,  김병종의 화첩기행 역시 기행문이자 답사기이기도 하여,  세간의 분류법을 따르고자 했다)
 3대 작품을 꼽자면,
( 이번 책 1부에서 청룡포 답사중에 인용되고 언급되기도 한 ) 신영복 선생의 '나무야 나무야',  김병종 선생의 '화첩기행'
그리고 유홍준 선생의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  를 꼽고 싶은데,  세 종류의 책이, 모두 다른 특성이 있어 우열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번 편에 아쉬운 부분이 있다.
성신양회 채석장 이나 단양 시멘트 공장에 대한 답사 일화에서, 눈에 많이 걸린 , 어쩌면 사실과도 많이 다른 부분이 있다.
세계 몇 대 시멘트 사용 국가라는 토건 제일 주의 국가 인게 자랑인지는 모르겠으나, 개인적인 느낌은 제쳐 두고라도,
발암 물질인 슬러지와 폐타이어를 섞은 시멘트가 자원 재활용이고 에너지 회수인지에 대해서,  혹시라도 독자들이 오해를 살까 걱정이다.
이 문제는 티비 탐사 보도 프로그램에 여러번 보도 되기도 했고, 특히 일본의 폐자재를 수입하기도 하여 화제가 되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창비출판사의 편집부에서 최병성 목사가 지은 저서 "대한민국 쓰레기 시멘트의 비밀" 을 한 번 읽어 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