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언제, 어디서 책 읽는 걸 좋아하십니까?

언제나, 어디서나, 아무때나...


Q2. 독서 습관이 궁금합니다. 종이책을 읽으시나요? 전자책을 읽으시나요? 읽으면서 메모를 하거나 책을 접거나 하시나요?

종이책만을 읽습니다.
전자책은 한번도 완독한 적이 없습니다.

저에겐 종이를 만지며, 책장을 넘기는 행위가 독서 입니다.

소기의 목적을 갖고 이용하는 학습서등을 제외하고는 ,

책에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 않습니다. 완독후 책이
처음 구매했을 때와 달라지는 점은 띠지가 제거되는 정도입니다.

Q3. 지금 침대 머리 맡에는 어떤 책이 놓여 있나요?
침대 머리 맡에는 어떤 책도 없습니다.
잠들기전에 모든 책을 제자리에 옮기는 오랜 습관이 있습니다.

Q4. 개인 서재의 책들은 어떤 방식으로 배열해두시나요? 모든 책을 다 갖고 계시는 편인가요, 간소하게 줄이려고 애쓰는 편인가요?

한 작가의 책을 여러권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는 당연히 작가별로 분류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출판사별, 장르별, 분야별로 분류합니다. 두가지 이상의 경우가 충돌할땐 작가별 분류를 우선합니다.

모든 책을 다 보유합니다. 버리거나 되파는 경우는 드뭅니다.

간혹 타인에게 빌려주고 못 맏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책장은 책들로 넘쳐 납니다.


Q5. 어렸을 때 가장 좋아했던 책은 무엇입니까?

청소년 문고로 각색되어 나오는 세계 명작들입니다.

서유기,  레미제라블 , 삼국지가 먼저 떠오릅니다.

Q6. 당신 책장에 있는 책들 가운데 우리가 보면 놀랄 만한 책은 무엇일까요?

 

절판된 책들입니다. 정운영 선생의 에세이나,  시집을 펴낸 가수이자 음유시인인

조동진의 시집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널리 알려진 책들이 아니어서,  누구나 놀랄 것 같지는 않습니다.

Q7. 고인이 되거나 살아 있는 작가들 중 누구라도 만날 수 있다면 누구를 만나고 싶습니까? 만나면 무엇을 알고 싶습니까?

 

소설가 김훈 선생님 입니다.

언젠가 일산 정발산 근처 거리에서 , 우연히 지나는 모습을 뵌적이 있습니다.

동경해 마지 않는 사람을 마주치는 건 큰 행운 입니다.

 

그리고, 강연장에서 여러번 뵜지만,  고인이 되신 신영복 선생님 한 번 더 뵙고 싶습니다.

Q8. 늘 읽어야겠다고 생각했지만 아직 읽지 못한 책이 있습니까?

Q9. 최근에 끝내지 못하고 내려놓은 책이 있다면요?

 

토마 피케티의 "21 세기 자본" 입니다. 압도적인 책의 두께 때문에,  (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생각 보다 쉽게 완독 했다고 알려 왔지만 ) 몇 장을 못 넘기고 맙니다.

해가 가기 전에 완독할 예정입니다.


Q10. 무인도에 세 권의 책만 가져갈 수 있다면 무엇을 가져가시겠습니까?

유발하라리의 "사피엔스"

윌터 아이작슨의 "이노베이터"

자크타르디의 "파리코뮌"  이렇게 세 권 입니다.

 

최근에 구매하고 아직 못 읽은 책들입니다.

계속 해서 더 많은 책을 읽고 싶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