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 빛과 물질의 탐구가 마침내 도달한 세계
그레고리 J. 그버 지음, 김희봉 옮김 / 을유문화사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독서 루틴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격적으로 독서를 시작하기에 앞서 책을 피아노에 올려놓고 사진을 찍는다. 그러고 나서 책을 펼친다. 책을 읽지 않는 시간에는 책 사진도 보정하고, 마음에 드는 문장들을 카드 이미지로도 만든다. 책을 다 읽고 나면 노트북으로 서평을 쓴다.

이러한 일련의 행위를 하는 데 필요한 감각은 극단적으로 말해서 시각이면 충분하다. 물론 책장을 넘기고 키보드를 두드릴 때 아무런 촉감도 느껴지지 않는다면 상당히 느낌이 이상하겠지만, 이를 이 행위의 필수 요건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인간은 다른 동물 종보다 시각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고 한다. 누군가가 정보를 생산하는 일, 내가 그 정보를 받아들이는 일, 받아들인 정보를 재생산하는 일 모두 시각에 의존하여 행해진다. 청각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시각보다는 지속성과 안정성이 떨어진다. 인간은 정보를 전달하는 데 후각을 이용하지도 않는다. 그렇기에 보임/보이지 않음에 관한 문제는 늘 중요하게 다뤄졌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에게 무엇을 보여주고 무엇은 보여주지 않을지 계산해야 하니 말이다.

문학에서도 보이지 않음은 오랫동안 화두가 되어 왔다. 투명 인간 혹은 인간과 물건을 보이지 않게 하는 도구에 관한 이야기는 아주 오래전 플라톤이 살던 시대에서부터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다. 이야기를 통해 보이지 않음에 대한 욕망을 표출하던 인류는 과학으로 보이지 않음을 실현하고자 노력했다.

『보이지 않는』은 광학과 SF소설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보임/보이지 않음의 긴 역사를 이야기한다.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자외선과 적외선의 발견부터 현재 진행 중인 투명 망토 연구와, 더 나아가 보이지 않음을 연구하다가 발견한 것들을 다른 분야에 적용한 예시까지 아우른다. SF 작가들이 과학자들보다 먼저 상상해 낸 것, 혹은 새로운 과학적 발견에 영향을 받은 작품도 광학의 역사와 엮어낸다.

보이지 않도록 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믿던 시대부터 완벽하게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는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는 기술을 발명해 낸 지금까지. 인류는 계속해서 보이지 않음을 향해 나아왔다. 이야기와 과학도 함께 발전했다. 보이지 않음에 대한 욕망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므로 이야기도 끝나지 않을 것이다. 투명 인간이 된다면 무엇을 하고 싶냐는 질문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그 대답에 따라 역사도 달라질 테니 이제 욕망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들여다봐야 할 것이다.

*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뉴턴의 광학 연구는 빛의 물리학을 이해하는 데 집중하여 본질적으로 "빛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려 했다는 점에서 선구적이었다. 뉴턴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흰색 빛이 가시광선의 모든 색이 모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그는 유리 프리즘을 사용하여 흰색 빛을 무지개색으로 분리하여 이를 입증했다.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의 유명한 음반 《다크 사이드 오브 더 문Dark Side Of the Moon》의 표지를 본 사람이라면 프리즘에 의해 갈라지는 빛의 그림을 보았을 것이다. - P46

웰스는 "마술이 작동한 뒤에 판타지 작가가 해야 할 일은 다른 모든 것을 인간적이고 현실적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사소한 것들을 세밀하게 다듬어야 하고, 처음의 가정을 엄밀하게 따라야 한다. 주요 가정에서 벗어나 다른 것을 꾸며서 덧붙이거나 하면 바로 설정이 엉켜서 흐리멍덩해진다." - P148

시설물을 보호하는 것은 보이지 않게 하는 것보다 훨씬 더 겸손하고 달성 가능한 목표다. 50퍼센트만 투명해지는 투명 장치는 숨기는 방법으로는 매우 비효율적이지만, 해양 망토가 파도의 50퍼센트를 튕겨 낸다면 파괴될 구조물이 온전히 살아남을 수 있다. - P2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