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다정한 우주로부터 오늘의 젊은 문학 4
이경희 지음 / 다산책방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을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은 욕망일지도 모르겠다. 그 욕망이 어떻게 발현되느냐에 따라 선과 악이 나뉘는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더 많은 걸 얻고자 하는 욕망으로 인해 역사적 비극이 일어나기도 하고, 반대로 진보하기도 하는 것처럼 보이니 말이다.

 

하지만 세상을 앞으로 나아가게 했든 후퇴하게 했든지 간에 과거가 되어 버린 욕망의 발자국들은 현실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살아 있는 조상님들의 밤」에서 죽은 이들이 현실 세계로 돌아와 아직 죽지 않고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하는 말은 모두 과거 세계에서 욕망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것들이었다. 그렇기에 그들의 잔소리는 더이상 현실과 어울리지 않는 말들 뿐일 수밖에 없었다.


인간은 무언가를 욕망했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그것도 조금씩 변해왔듯이, 미래에도 인간은 욕망의 대상을 찾아낼 것이다. 그렇지만 어쩌면 욕망의 본질은 비슷할지도 모른다. 「우리가 멈추면」은 1973년 스카이랩 우주정거장 파업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소행성 개척, 행성 간 이동이라는 미래적 요소를 결합한 작품이다. 그리고 읽는 내내 과거의 일이 떠올랐다.아니, 어쩌면 과학적으로는 과거이지만 과거라고만 할 수 없는 일, 내가 너무 어려서 뉴스를 보면서도 이해하지 못한 채 잊었던 일이라고 해야 맞을 듯하다. 알 수 없는 먼 미래에 정말로 이 소설과 같이 소행성을 개척하고 행성 간 이동이 가능해지는 시대가 왔을 때는 권력자의 야욕으로 인해 노동자가 짓밟히는 게 불가능한 세상이 되어 있길, 그보다는 그때가 오기 전에 그런 날이 오길 바라는 마음을 가득 품고 끝까지 이 작품을 읽었다.


「다층구조로 감싸인 입체적 거래의 위험성에 대하여」와 「신체강탈자의 침과 입」도 타인을 해하는 욕망의 실현에 관한 이야기라고 느꼈다. 사회 혹은 도덕이 그어놓은 선을 넘어서는 욕망의 실현이 바로 악(惡)이 탄생하는 지점이 아닐까.


작가는 인간의 욕망뿐만 아니라 인공지능과 로봇의 욕망에 관해서도 이야기한다. 자칫하면 스포가 될 수 있어 자세히 언급할 수는 없지만, 「바벨의 도서관」 등의 작품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인간과는 사고방식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욕망 또한 인간의 욕망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명령어에 따라 사고하고 행동하는 그들의 특성에서 비롯된 욕망은 역설적으로 인간 욕망의 위험성을 더욱 부각하는 듯도 하다.


반대로 인간의 어떤 욕망은 악을 일으키는 욕망에 반하여 생겨나기도 한다. 앞서 언급한 작품인 「우리가 멈추면」의 세경과 「저 먼 미래의 유크로니아」의 하나가 이에 속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타인을 배제하는 욕망이 아닌 타인에게 공감하고 그와 함께하고자 하는 욕망이 바로 좀 더 따뜻한 세상을 만들어 내는 게 아닐까 싶다.물론 악을 만들어내는 욕망을 가지고 있는 인간이 계속 등장하고 역사를 이어나가는 한 먼 미래라고 해서 별반 달라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나의 욕망은 부디 다정한 욕망들이길, 당신에게 다정한 우주가 되길.




*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유진, 우리 목소리가 정말 저 먼 곳까지 닿았을까? 네 마음이 정말 전해졌을까?" (「우리가 멈추면」) - P126

"음…… 당신에게 허락된 단어들만으로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당신은 허락된 단어만 가질 수 있잖아요. 단어는 곧 힘이니까." (「다층구조로 감싸인 입체적 거래의 위험성에 대하여」) - P152

인간은 끊임없이 적을 생산해 내는 존재로, 스카이파이어가 아무리 많은 적을 제거해도 아군은 언제나 새로운 적을 만들어냈다. 아군이 존재하는 한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전쟁을 끝내기 위해서는 아군 또한 함꼐 제거되어야 한다는 것이 스카이파이어가 내린 결론이었다. (「바벨의 도서관」) - P203

"어떤 기억은 지워도 지워지지 않고 남아 인격의 일부가 돼요. 그 사람의 본질을 송두리째 바꿔버려요. 그 경험을 이해해 줄 사람 없이는 살 수 없을 정도로. 그런 기억들은 일종의 암호 키와 같아요. 오직 같은 경험을 공유하는 사람만이 서로의 헝클어진 내면을 해석할 수있죠." (「저 먼 미래의 유크로니아」) - P3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