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를 병들게 하는 게 뭔지 아나, 르미외 형사?"
르미외는 고개를 흔들었다. 그리고 어둠과 침묵 속에서 답을 들었다.
"우리를 병들게 하는 건 우리의 비밀이라네." - P3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옥타비아누스는 인간의 결점을 놓치는 법이 없었고 약점을 간과하지 않았으며 모든것의 무게를 꼼꼼히 따졌다. 그의 본능은 파충류를 닮아 있었다. 다른 사람들이 섣불리 움직이는 실수를 범할 때 그는 꼼짝도 하지 않았다. 그러다 움직일 때는 너무 빨라서 흐릿하게 보일 뿐이거나, 혹은 너무 느려서 가만히 있는 듯한 착시를 일으켰다. - P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치명적인 은총 아르망 가마슈 경감 시리즈
루이즈 페니 지음, 이동윤 옮김 / 피니스아프리카에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라라는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았다. <식스 센스>에 나오는 꼬마 같았다. 클라라는 유령을 보는 대신 선량함을 보았다. 그 자체만으로도 무서운 점이었다. 타인에게서 악덕을 찾아낼 수 있다면 훨씬 위안이 된다. 하지만 선량함은? 아니, 정말로 비범한 사람들만이 타인에게서 선량함을 찾아낸다. - P84

가마슈는 경찰청 사람들 중 가장 훌륭하고 명석하며 용감하고 강인한 사람이었다. 기꺼이 자신의 머릿속에 틀어박힐 수 있는 사람이기에, 기꺼이 그곳에 있는 모든 문을 열려고 하기 때문에, 기꺼이 다른 사람들의 마음속 깊이 숨겨진 어두운 방 속으로 들어가려 하기 때문에. 살인자들의 마음속으로도. 그리고 그는 어떤 괴물이 다가오든 제압했다. - P118

"제 직업은 생명을 앗아 가는 사람들을 찾는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 동기를 알아내야 하지요. 그러기 위해서는 그 사람들의 머릿속으로 들어가서 그 마지막 문을 열어야 합니다. 하지만 다시 밖으로 나오게 되면," 그는 커다란 동작을 취하며 팔을 벌렸다. "세상은 갑자기 더욱 아름다워지고, 더욱 생기가 넘치고, 그 어느 때보다 더욱 사랑스러워집니다.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을 때야말로 최선을 알아볼 수 있죠." - P4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적에 대한 신앙을 만든 것은 거기에 기적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이러한 신앙이 살아남도록 만든 것 역시 바로 그 생각이었다. - P4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싱의 필생의 작업은 부르주아가 아니라 프롤레타리아를 위한 것이다. 그는 시민계급의 이익을 위해 투쟁했으며, 이 계급 안에서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는 아직 하나였다. (......) 부르주아는 그의 투쟁의 본질과 목적을 내팽개쳤으나 프롤레타리아는 받아들였다. 레싱에 철학 안으로 끌어들여 구한 시민들의 계급투쟁을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의 계급투쟁으로 철학으로부터 분리했다. - P504

오히려 시민계급이 선구자들의 정신적인 작업을 물리쳤기 때문에, 이 귀중한 유산은 역사 발전의 법칙에 따라 무기고가 될 수밖에 없었으며, 노동계급은 이 무기고에서 최초의 번쩍번쩍 빛나는 날카로운 무기를 취했던 것이다. - P5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