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림
성석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11월
평점 :
품절


성석제의 소설집 '홀림'에서도 성석제는 여전히 그 재치 만발의 필력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여태까지 읽어혼 성석제의 소설들과는 좀 다른 느낌의 소설들이 몇편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끌었다. '홀림'과 '협죽도 그늘 아래서'이다. 두 소설은 다른 소설들처럼 가볍고 재기발랄하다기 보다는 조금은 차분하게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다.(주변minority적인 소재에서 많은 사람majority들의 공감을 줄 만한 핵심적인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지만)

'협죽도 그늘 아래서'는 혼인하자마자 전쟁으로 남편을 잃은 한 미망인의 일생을 담은 소설이다. 흔히 말하는 한스러움이라던가, 어딘가 모를 애수를 나타내고 있다. 전쟁의 상처가 워낙 컸으니 사실 이런 이야기를 쓴다고 해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공감대를 얻을수 있는 만큼 무언가 깊은 인상을 남기기는 힘들 것 같지만, 이 소설은 '평균 이상'의 인상을 남겨준 것 같다. 한 미망인과, 소설에서 수없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협죽도 그늘', 그리고 그녀가 살고 있는 마을 가시리가 제 각기 다른 이야기를 하면서 또 하나가 되어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데서 그 인상을 깊이 느낄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홀림'은 '즐겁게 춤을 추다가'를 읽어 본 사람이라면 대충 짐작할 수 있겠지만, 자전적인 이야기다. 그가 어떻게 해서 소설에 가까워지고 또 마침내 '소설쓰는 인간'이 되었는가를 한 아이(들)의 홀림에 빗대어서 쓴 글이다.

그때 처음으로 아름다움과 공파가 혈연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p.124)

아이는 스스로를 쪼개기보다는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을 분류하기 시작했다. 아이는 스스로 분류해 놓은 각각의 세상 끝을 자신의 발로 디뎌보려고 했다.(p.142)

이 두문장은 그가 어떻게 '소설쓰는 인간'이 됐는가에 대해 핵심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지는 않지만, 소설을 읽으면서 큰 인상을 남겼기에 옮겨 적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