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3 콘스탄티노플 최후의 날
스티븐 런치만 경 지음, 이순호 옮김 / 갈라파고스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1453년 콘스탄티노플의 함락은 한시대의 마감을 의미하는 해로 여겨진다. 로마의 전통 원형을 가장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던 비잔티움 제국의 함락으로, 비로소 유럽이 고전고대문화로부터 탈피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중세와 근대를 구분짓는 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분분한 의견이 있지만,  비잔티움제국의 함락을 그 기준으로 삼는데에서도 이를 알 수 있다.

1453 콘스탄티노플 최후의 날은 말그대로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되는 그 정황을 서술한 책이다. 콘스탄티노플 공방전을 중심으로 그전의 비잔티움제국의 쇠락과 오스만 제국의 성장, 그리고 아직 전혀 사태파악을 하지 못하고 있는 서유럽국가의 상황에서부터 함락후의 서유럽의 반응와 그리스정교회의 생존등을 다루고 있다.

시오노 나나미의 <전쟁 3부작 : 콘스탄티노플 공방전>을 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시오나 나나미의 책에서 나오는 주요 인물들이나 이 책에서 나오는 주요인물들이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이다. 시오노 나나미의 책이 주요 인물들을 관점과 중심으로 소설처럼 공방전의 상황을 서술해 나아간 것에 비하면, 이 책은 더 거시적으로 인물들이 다루어진다. 사실 그렇기 때문에 시오노 나나미의 책을 읽고 이 책을 읽는 사람이라면 이 사람은 똑같은 이야기를 참 재미없게 쓰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것 같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재미있을 수 있었던 것은 시오노 나나미의 책에 비해 보다 객관적이고 거시적으로 공방전을 다루고 있고, 그러면서도 저자의 관점(역자의 말대로 열악한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해 방어했던 콘스탄티노플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비잔티움제국은 유럽사에 있어서도 소외받는 위치에 있었다. 동서로마의 분열과 서로마의 멸망과 더불어 분명 로마의 정통성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종교와 문화적인 이유로 그 정통성이 부정되고 외면되었었다. 콘스탄티노플의 중요성을 알면서도 결국에는 함락되는걸 바라보기만 했던 서유럽의 당시 상황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러한 경향은 최근의 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최근에야 지금까지의 태도에 대한 반성적인 자세와 연구가 시작된것이다.

 이 책이 최근 이러한 경향이 반영된 것이라고는 하지만, 아직은 부족한 면도 없지는 않은 듯 하다. 하지만 시작부터 완벽하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이러한 책이 더 많이 나오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