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 논픽션총서 1
안인희 지음 / 민음사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게르만 신화와 바그너, 그리고 히틀러라는 시대상으로는 동떨어진 세 주제가 연관된다는 사실은 이 세 주제에 대해서 한가지라도 어느정도 관심을 갖고 있다면 알 수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얼마나 깊이 연관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문가가 아닌 이상 알지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세분야중 한 분야의 전문가라 할지라도 깊은 연관성을 모르는 경우도 많다. 사실 각각의 세 분야 모두 난해한데, 그 세개의 연관성을 찾으라는건 한술 더 뜨는 것 아닌가.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이 세요소의 연관성을 당대의 역사, 사회적인 맥락속에서 쉽게 설명해나아가고 있다.

 사실 책을 처음 읽을때는 게르만신화에서 바그너로, 그리고 그 고리의 마지막인 히틀러에 대한 부분을 염두에 두었지만, 읽으면서 실제로 주목하게 된 부분은 게르만 신화와 히틀러를 연결시켜준 바그너였다. 벤야민의 말따라 '정치의 예술화'를 꾀한 히틀러가 수용한 게르만 신화는 신들조차 불안정하고 계약에 묶여버린 상황, 끝없는 투쟁과, 그리고 마침내 찾아오는 최후의 전쟁(라그나로크), 그리고 그 뒤의 화해의 신세계를 그리고 있는 순수한 그 게르만 신화가 아니라 바그너식(바그너가 수용하여 재창조된) '게르만 신화'가 있었던 것다.

 처음으로 단일국가로서의 '독일'의 정체성이 생겨나고 그에 따른 혼란이 만연했던 그 시절에, 바그너는 당대에 유행했던 모든 사상을 받아들이고자 했던 지식인중 한 사람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바그너의 오페라에는 낭만주의에서 보수주의, 인종주의까지 전혀 색이 다른 사상들이 그의 지적편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한가지 또 시선을 끈 것은 비록 이 책에선 곁다리로 다루어지긴 했지만 바그너와 절친했지만 결국엔 결별해야만 했던 니체에 대한 서술이다. 사실 니체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이다. 그의 (당대의) 반기독교적이고 반민주주의적인 사고는 전체주의의를 옹호하는 근거가 되는가 하면(르네 지라르의 '나는 사탄이 하늘에서 떨어지는것을 봤다'참고) 또 한편으로는 이 책에서처럼 바그너의 작품이 히틀러처럼 잘못 수용되어 악용될수 있는 요지가 있다는 것을 니체가 정확히 지적하고 있다는 것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부분은 독자로 하여금 바그너에서 니체로 이어지는 새로운 지적호기심을 이끌기에 충분한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