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발걸음 - 풍경, 정체성, 기억 사이를 흐르는 아일랜드 여행
리베카 솔닛 지음, 김정아 옮김 / 반비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값도 부담스러워 요즘은 e북으로 많이 읽는데 새해 첫 책은 리베카 솔닛 <마음의 발걸음>이다. 역설적으로 여행을 떠나지 못하는 지금, 여행에 관련된 책을 많이 읽는데 이 책, 굉장히 색다르다. 아일랜드 여행기라 생각하고 읽는데 ‘여행‘ 그 자체에 대한 이야기라고 해도 맞을듯 싶다.

‘이곳의 가장 큰 의미는 저곳을 바라볼 최선의 시점이 되어준다는 데 있지 않을까. 산에 오르는 건 산 밑을 내려다보기 위해서가 아닐까. 1년 동안 집을 떠나 멀리까지 돌아다닌 적이 있다. 여행이 몸의 위치뿐 아니라 기억의 위치, 상상의 위치를 바꾸어놓는다는 것. 처음 가본 곳들, 몰랐던 곳들이 주로 망각 속에 묻혀있는 묘한 연상들과 욕망들을 끄집어내준다는 것. 그러니 여행자가 가장 많이 걷게 되는 길은 마음의 길이라는 것을 나는 그때 실감했다. 여행은 내가 나라고 생각지 않았던 나를 발견할 기회가 되어준다. 나의 무너지는 정체성이 내가 가보고 싶은 땅으로 이어지는 것이 여행이기에,‘

여행 자체에 대한 이런 깊은 사유는 김영하 <여행의 이유> 이후로 처음이다. 그냥 여행기가 아닌 ‘삶은 여행‘이니 여행 아니, 삶에 대한 에세이라고 하고싶다. 그것도 리베카 솔닛은 무려 직접 걸어 아일랜드를 여행한다. 그녀가 가는 곳, 본 것. 만난 이들과 얽힌 이야기 속엔 아일랜드 역사. 문화, 문학, 음악에 이르기까지 수준높고 내용 깊은 이야기들이 넘쳐난다. 정말 대단하다. (알고보니 이 책은 이십대에 아일랜드 여행한 것을 삼십대에 쓴, 리베카 솔닛의 지적 호기심이 왕성하게 살아있는 젊은 시절 초창기 책이었다)

그만큼 이 책을 읽으면 아일랜드를 속속들이 알 수 있다. 아일랜드가 옆나라 영국으로부터 끊임없는 침략과 박해를 당했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우리가 일본한테 당한 건 비교도 안되는구나 싶다. (대체 섬나라 것들은 다 왜그런건지) 걸리버여행기 조너선 스위프트 이야기도 흥미롭다. 영국 작가인줄 알았는데 조부모가 아일랜드로 건너와 아일랜드에서 나고 자란.. 영국인도 아일랜드인도 아닌 경계에 선(?) 인물이랄까. 그리고 로저 케이스먼트 콩고 보고서 내용이 자세히 나오는데 너무 충격적이라 읽는 것만으로 정신적 외상을 얻는 느낌이다. 이 콩고 보고서, 푸투마요 보고서로 고문의 세계를 적나라하게 묘사한 케이스먼트는 동성애자란 이유로 사형당하는데(실제는 아일랜드 독립군을 지원한 이유지만) 결과론으로 보면 오스카 와일드와 똑같다. 둘은 21년 차이를 두고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영국에서 사형당한다. 재밌는건 케이스먼트가 사형당하기 5년 전엔 같은 정부로부터 인권에 기여한 공로로 기사 작위를 받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오코너와 U2 이야기도 자주 등장해 좋다. 너무 많은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넘쳐나 다 언급하기 어려운, 최고의 아일랜드 여행기고, 이제껏 읽은 여행기 중 단연 최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