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리뷰를 안 올렸다. 무언가를 읽는 것까지는 마냥 즐거운데 읽은 것과 관련해 글을 쓰고 그 글을 다른 이들이 볼 수 있는 공개된 영역에 올리는 일은 마냥 즐겁지만은 않기 때문이다. 그동안 출판 관련한 책을 몇 권 읽고, 요네하라 마리 책을 몇 권 읽었다. 또 재미 위주의 책들을 몇 권 읽었다.

 

 

 

 

 

 

 

 

 <현대문자생활 백서 우리말 맞춤법 띄어쓰기>는 간편하고 쉽게 우리말 맞춤법 원리를 설명해 놓은 얇은 책이다. 출판학교 시험 보기 전날 급하게 빌려와서 읽었는데, 당연한 말이지만 역시 하루 아침에 뚝딱 한국어 맞춤법, 띄어쓰기를 익힐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_-;; 

 <출판편집자가 말하는 편집자>와 <책으로 세상을 편집하다>는 편집자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지 출판계에 몸담고 있는 다양한 분들이 자신의 경험을 진솔하게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출판사도 가지각색인만큼, 출판사 안에도 여러 색깔을 지닌 사람들이 존재하는구나, 싶었다. 공통점을 찾기가 어려울 만큼 다양한 사람들이 있다고 할까. 예전에 휴머니스트에서 나온 <편집자란 무엇인가> 속에 편집자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보면서 '편집자는 만능인'이 아닐까 생각했는데, 어쩌면 이렇게 다양한 사람들의 공통점을 뽑다 보니 그런 만능인이 탄생한 건 아닐까 싶기도 했다.(이건 내가 보고 싶은대로 생각하는 것인지도..) 

 어쨌든 책을 만드는 과정은 세상을 바라보는 폭넓은 시선, 여러 사람과의 조율, 세심함과 꼼꼼함, 인내심, 등등이 요구되는 어려운 일이지만, 그만큼 보람찬 일이 아닌가 싶기도 했다. (물론 그 책을 찾아주는 독자들이 많을 때 더욱 큰 보람을 느끼는 것인지도..모르겠다..)  

 

 다음으로 요네하라 마리 책을 읽었다.  

 

 

 

 

 

 

 

 

 두 책 모두 <러시아 통신>처럼 짤막한 글들이 묶여 있다. 요네하라 마리가 신문에서 연재한 칼럼을 엮은 글이라고 한다. 역시 편하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동시에 여러 생각을 하게끔 해주는 책이었다.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올라갈 즈음까지 프라하에 있는 러시아 학교에 다닌 요네하라 마리는 어릴 적부터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다양한 국적을 지닌 사람들을 많이 만났다. 이렇게 몸소 체득한 경험이 쌓여서인지, 그녀만의 사람과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글 속에 묻어난다. 이는 대체적으로 따뜻한 시선이지만, 때로는 모두가 당연하게 생각하던 것을 비판하는 예리한 시선이기도 하다. 그녀의 다른 글들도 조만간 읽을 계획이다.   

 

   

 

 

 

 

 

 

  

 

 그리고 오빠가 권해주는 판타지 책을 3권 읽고 말았다. 판타지를 좀 읽은 오빠는 자신이 좋아하는 판타지 작가 중 세 손가락 안에 꼽는 작가가 이수영이라고 하며 이 책을 권했다. (나머지 두 분은 이영도, 윤현승이라고 한다.) 역시나 무척 재미있었다. 문장이 어찌나 빨리 읽히는지, 원래 느리게 읽는 편인데도 무서운 속도로 모두 읽고 말았다. 잔인한 황제인 주인공이 반역을 당하고 죽음을 맞이하기 직전에 과거로 돌아간다는 내용인데, 재미도 있고 나름대로 교훈도 있었지만, 읽고 난 후에 현실도피한 느낌이 들어 조금 서글퍼졌다. 내가 사는 현실과의 간극과 그러면서도 리얼한 묘사가 판타지의 즐거움이라고 하지만, 뛰어난 지혜도, 미모도, 무력도 없는 현실의 나는 왠지 모를 서러움을 삼키고 있었다.-_-;; (그래도 재미있고 판타지 중에 괜찮은 작품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책을 반납하러 간 책방에서 눈에 띈 책을 또 빌리고 말았다. 그 책은,  

 

 

 

 

 

 

 

 

<문재인의 운명>이었다. 시사IN을 구독하면서 예전보다 정치에 관심이 많아졌는데 최근 차기 대통령 후보로 거론되는 문재인은 어떤 사람일까, 궁금하던 차에 이 책이 눈에 들어와서 빌리지 않을 수 없었다.  

 문재인을 이야기하면 노무현이라는 이름이 따라붙는다. 역시 이 책의 절반 이상이 노무현과 참여 정부 이야기로 채워져 있었다. 노무현 대통령 이야기에는 울컥하지 않을 수 없었다. 때로는 방법이 거칠고 갑작스러웠지만 끝까지 원칙과 소신을 지키고자 노력한 모습. 우리 나라 역대 대통령 중 그런 사람이 또 있었던가..(물론 모든 일을 잘했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대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이라크 파병이라든가, 한-미 FTA라든가 연정 등..) 

 책을 읽으며 문재인의 지나온 삶과 함께 한국 현대사를 되짚어보는 느낌이 들어 좋았다. 유신 정권에 맞서 학생운동을 하던 대학 시절, 5공화국 때 공수부대에서 활동한 군대 시절, 이후 사시합격해 인권변호사로 활동한 시절, 또 앞서 말한 참여 정부 노 대통령을 보좌하던 민정수석 시절..  

 하지만 조금 아쉽기도 했다. 아직 노무현 대통령의 그림자에 묻혀 뚜렷한 문재인의 색깔이 드러나지 않은 것 같아서다. 청와대에서 노 대통령을 보좌하며 일한 경력이 있고 약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인권변호사로 활동했다는 점은 높게 사지만, 지도자로서 이끌고 나가기에는 아직 어딘가 어설픈 느낌이 있다. 참여정부 때도 정치에 회의를 느끼고 두 번 사퇴하지 않았던가..그래도 이런 사람이 흔치 않고 또 그가 아직 확실히 대선 출마를 결정한 것도 아니니 좀 더 두고봐야 할 일이다.(내가 무어라고 이렇게 지껄이고 있는지..-_-;;) 

 오늘 막 읽은 책은 따로 리뷰를 써야겠다. 쓰다 보니 벌써 1시 반이 다 되어가는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마 전에 도서출판 아고라 네이버 카페에서 리퍼브 도서를 구입했다. 새 책이나 다름없는 책 4권을 만원에 - 배송비까지 포함해서 - 구입할 수 있어서 매우 기뻤는데, 그것이 인연이 되어 아고라의 독자위원이 되었다. (아마 한 달에 한 두 번 책을 받고 서평을 쓰는 일을 하게 될 듯싶다.)  

 좋은 책을 만드는 회사인데 규모가 작아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아서 홍보를 조금이나마 돕게 되었다. (그래봤자 내 서재에 오는 분들은 거의 없는 듯 하지만ㅠㅠ) 그렇지만 서평이나 언급 횟수가 많아지는 것이지 실제 내가 느낀 것보다 좋게 말한다거나 나쁘게 말할 생각은 없다. 출판사에서도 실제보다 미화시키거나 엄격하게 말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정확히 밝혀주셨다.

 알고 보니 얼마 전에도 <언런던> 1,2권을 사면 <퍼디도 스트리트 정거장> 1,2권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했던 듯 싶은데 나도 뒤늦게 알고 좀 안타까웠다. 이번에는 <냉장고에도 쇼핑몰에도 없는 것>을 반값 할인한다고 하니 평소 자기계발서에 관심있으시고 '비만, 경제적 궁핍, 외로움'이란 단어에 반응하시는 분들께 권하고 싶다. 그러고 보니 나도 해당되는 이야기인 듯.. 참 읽지도 않고 권하려니 쑥쓰럽다;;  

  

  덧으로 오늘 <마당에 나온 암탉>을 보았는데 기대가 큰 만큼 안타까움도 컸다. 우리나라 애니메이션이 매우 발전했다고 칭찬 일색이어서 보았는데, 파스텔 톤 화면과 귀여운 그림체는 마음에 들었지만 들쑥날쑥하고, 교훈만 지나치게 전달하려는 이야기 구성이 많이 아쉬웠다. 그래도 많은 제작비와 수고를 들였다고 들었는데 앞으로는 <토이 스토리3>처럼 어른들도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울컥하는 감동적인 애니메이션을 기대한다. 그러고보니 <소중한 날의 꿈>도 평이 좋던데 보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