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우지 말라고 하지 마세요 - 우리 아이 사회성 솔루션
이다랑 지음 / 제이포럼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집 연년년생들의 요새 취미는 '싸우기(?)'인가보다. 뭐가 그렇게 서로 마음에 안 드는지 잘 놀다가도 뒤 돌아서면 싸우고 또 화해하고를 반복한다.



그럴 때마다 나는 '그만 싸우면 안 될까?' 이렇게 말하곤 했는데, 나름 잘 이야기했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이 말한다. "싸우지 말라고 하지 말라"고. 그럼 뭐라고 해야하나..







<싸우지 말라고 하지 마세요>는 심리상담 현장에서 유아부터 청소년까지 많은 부모들이 고민하고 있는 문제 중 하나인 '사회성'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우리가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사회성에 대한 오해의 이야기와 부모가 직접 실천해볼 수 있는 가이드북까지 사회성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 이 부분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부모들에게는 권유하고 싶은 책이다.









보통 사회성이라고 하면 "친구를 잘 사귀는 것"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나도 아이를 키우기전까지는 그렇게 알고 있었다. 친구가 많은 사람을 사회성이 좋은 사람이라고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 책에서 말하듯 사회성은 '다른 사람들과 건강한 관계를 맺어가는 것'을 말한다. 관계를 만드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잘 유지하는 것이다. 관계를 좋게 유지하고, 문제가 생기면 이를 잘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사회성인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회성'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길러지는 것이 아니다. 가정이라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한다. 많은 부모들이 이 부분을 놓치고 있다. 가정내에서부터 사회성을 길러야 하는데, 초보 엄마아빠를 위해 이 책은 디테일한 가이드를 제시한다.















아이들은 기질에 따라 세상에 반응하는 방법이 다른데, 다섯 가지의 기질 중에서 사회성은 '사회적 민감성'이라는 기질에 더 크게 반응한다고 한다. 그래서 아이들의 기질을 살펴볼 때 사회성이 고민된다면 이 부분을 더 깊에 관찰하라고 저자는 말한다. 



사회적 민감성이 높은 친구는 타인의 인정, 감정, 상태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감정표현을 잘한다. 그리고 눈치가 빠른 친구다. 반대로 사회적 민감성이 낮은 친구는 타인과의 관계나 감정보다는 자신의 욕구와 감정 위주로 선택을 한다. 



너무 높으면 눈치를 많이 보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못하기도 하고, 너무 낮으면 자신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모습이 비춰질 수 있다. 중간 마인드를 가질 수 있도록 부모가 가정에서 알려주어야 한다.






부모의 사회적 민감성에 따라 아이의 사회성이 달라질 수 있다고 한다. 부모의 사회적 민감성이 높으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높아질 수 있다. 반면에 완전 반대의 기질을 보일수도 있다. 



내가 사회적 민감성이 높은 사람이라 아이들도 사회적 민감성이 높다. 그래서 "양육자와 아이 모두 사회적 민감성이 높은 경우(189쪽)"를 정말 많이 읽었다. 



아이를 위해 엄마들 모임에 참석한 적이 있지만, 그 때마다 진짜 영혼이 탈탈 털리는 기분이라 많이 힘들었었다. 이전에는 '내가 정말 성격이 안 좋은가' 싶었는데, 그건 기질의 문제였다.

그 부분을 함께 이야기해주니 속이 시원하고, 내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제 싸우지 말라고 하지 말고, 아이의 기질을 파악하며 갈등을 잘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주어야겠다.




-



무엇보다 유치원생 이전의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들, 이제 막 기관에 보내기 시작한 친구들에게 적용하기 알맞은 책이다. 크게 보면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가능 할 것 같다. (사춘기는 또 달라질 것 같은 느낌)



사회생활을 막 시작한 아이들을 보며 부모들이 필연적으로 가지게 될 사회성에 관한 질문들이 나와있고, 부모가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솔루션으로 제시하여 보다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 거듭 이야기하듯 사회성이 부족하다고 문제 아이는 아니며, 충분히 연습과 노력으로 바꿀 수 있다. 타인과 한 마디 말도 할 수 없었던 내가 꾸준하게 연습한 부분이 '주변 사람들에게 인사하기'였다. 그래서 지금은 충분히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사회적 민감성이 높은 우리 아이들도 인사하기부터 시작하고 있다. 첫째는 벌써 효과가 나타나고, 막내도 한 번씩 결과를 눈으로 보여준다. 문제 아이는 없다. 부모가 같이 노력하면 우리 아이도 충분히 변할 수 있다.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