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사람
김순호 / 이목 / 1997년 2월
평점 :
품절


   
 

뇌에 있어서의 지각입력 전체의 역할은, 각각의 지각 자체가 맡고 있는 역할과는 다른 것입니다. 뇌는 이런 모든 입력의 공통처리장치이기 때문이죠. 사람의 지각 입력은 궁극적으로 뇌에서 처리되어 생기는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닐까요. 나는 이것을 '세계의 구축'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누구나 어떤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그 세계에서는 뜨거운 것에 닿으면 화상을 입고, 화상을 입으면 통증을 느낍니다. : p125 

이러한 입출력계통을 기본으로 우리의 뇌는 세계를 형성하는데 그 중 어떤 하나에다 많은 비중을 둡니다. 이것을 나는 현실이라 부릅니다. 그것이 일상적인 입력에서는 정정이 불가능하고 그 현실이 사회적으로 상황이 좋지 않은 면을 갖고 있다면 그 본인은 정신병원에 입원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이 논리적인 세계와 관계하는 것이라면 철학적 논쟁이 되고, 사회적 현실에 연관된 것이라면 심각한 투쟁이 일어날 것입니다. : p149 

진화의 과정에서는 능률이 좋지 않다든가 잘못된 행동을 지시하는 개체는 얼마 안 있어 배제됩니다. 이렇게 해서 '보다 정확한'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유전자가 조금이라도 더 선택되어 갑니다. : p169 

실제로 나는 그런 일련의 어릴 적 기억이 있었습니다. 그러한 기억의 '의미'를 나는 중년이 되어서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내가 그것을 이해했을 때에야 그것은 남에게 설명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전까지는 기억 그 자체는 있었지만 설명은 불가능했던 것입니다.  

표현된 의식은 타인과 공유합니다. 거기에서 제 3세계가 성립하는 것입니다. 그 표현을 둘러싸고 자신의 것이든 타인의 것이든 재차 의식이 새로운 활동을 개시합니다.  

이렇게 해서 새로운 표현이 생겨나고 그것이 되풀이되어 갑니다. 그 세계를 문화라 하고, 전통이라 하고, 학문이라 하고, 과학이라고 합니다. : p2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