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12가지 신소재 - 문명의 기반이 된 '철'부터 미래를 이끌 '메타물질'까지!
사토 겐타로 지음, 송은애 옮김 / 북라이프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에게 '역사'라는 것은 고등학교 수능 공부에서 배운 한국사와 세계사 그리고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대부분이었는데요.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까지 제가 굉장히 일부분의 과거에 일어난 사건들만 알고 있었음을 깨달았습니다. '신소재'를 다룬 다고 해서 과학의 화학 분야가 나와서 너무 어렵지 않을가 했지만 이해하기 쉬운 이야기들로 꾸며져 저에게 정말 친절한 서적이었습니다. 새로운 재료로 인류의 삶에 커다란 변화를 주었다는 내용들을 볼 때마다 정말 흥미로웠고, 제 주위의 모든 것들이 신비롭게 보여졌습니다. 금, 도자기, 콜라겐, 철, 종이(셀롤로스), 탄산칼슐, 비단(피브로인), 고무( 폴리아이스프렌), 자석, 알루미늄, 플라스틱, 실리콘 총 12가지 재료들로 인간이 어떻게 활용하고, 삶이 얼마나 편안해졌는지 알아보면서 앞으로 또 어떤 재료들이 탄생할지 기대되고 궁금해졌습니다.

이 책에서 제게 가장 인상 깊었던 소재는 '플라스틱'인데요.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플라스틱 프리 챌린지 캠페인'의 주인공인 플라스틱이 인류의 역사를 엄청 빠르게 변화하도록 바꾸고, 우리의 일상이 더욱 윤택해지고 간편해지게 만들었지만 이제 줄여야 하는 상황이 와버렸다는 것에 깊이 공감하기 때문입니다. 플라스틱 아일랜드가 생길 정도로 어마무시한 양의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바다에 떠다녀서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으며 우리가 먹는 물 속의 해산물들이 미세 플라스틱을 먹은 상태로 다시 우리가 먹고 있는 상황이라 정말 안타깝습니다.

그래서 저도 일회용 플라스틱 컵과 빨대, 비닐봉지, 수저, 포크 사용을 줄이기 위해 재사용이 가능한 튼튼한 텀블러, 종이빨대, 장바구니를 들고 다니려고 노력하고 있는데요. 자유롭게 변화하는 만능 재료 플라스틱은 인류에게 편리함을 제공했지만 꼭 줄여야 환경이 보호할 수 있으므로 점차 없어져야 할 신소재라서 읽는 내내 더욱 관심이 갔습니다. 이 외에도 실크로드를 완성한 비단, 문명을 이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철,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도자기 등의 신소재를 통해 역사와 현재를 비교하는 재미가 쏠쏠하기에 남녀노소 꼭 한 번쯤 이 책을 읽어봤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