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일 - 사랑이 내게 온 날 나는 다시 태어났습니다 장영희의 영미시산책
장영희 지음, 김점선 그림 / 비채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영희 교수님이 조선일보에 게재했던 '영미시 산책'에 소개한 영시 중
사랑이 내게 온 날, 나는 다시 태어났습니다 - 생일- 이라는 주제로 묶은 영시집이다.
 
John Donne의 The Good-Morrow, T. S. Eliot의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내 블로그 메인에 있는 Yeats의 A Drinking Song, William Shakespeare의 Sonnet 29 외에도
아무나 다 알고 있는, 그래서 내가 좋아하지 않는 Elizabeth Browning의 사랑시,
Ezra Pound, Persy B. Shelly, Robert Browing, William Blake .. 헥헥..
전공 영미시 시간에 배운 시들이 다수 수록되어 있고,
김점선 님의 따뜻하면서도 희망과 사랑이 느껴지는 그림과 함께
장영희 교수님의 소개글이 함께 실려있어
이 책을 읽는 동안, 너무나 행복하고 감동적이었다.

 

 
 
학부다닐 때 가장 좋아했던 영미시 였기에,
우선, 영어로 원문이 적힌 부분을
입밖으로, 라임을 느끼면서 소곤 소곤 읽어보며 리듬을 즐겼고,
눈으로 흝으며 영어가 주는 그 뜻을 충분히 파악했고,
왠만하면 한글 해석부분은 뛰어 넘어가며, 왠지 영어로 느낀 감동이 줄어들까 걱정해주었다.
그리고 교수님의 소개글을 접하며 그 시에 대한 교수님의 감상과 내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미물인 내가 미쳐 느끼지 못한, 파악하지 못한 감동과 의미를 교수님을 통해 더 얻을 수 있었다.
 
사랑이 내게 와서 행복했던 순간,
사랑이 함께 있어 감동하는 순간,
그 사랑이 떠났지만 원망하지 않고 애써 슬픔을 다독이는 순간,
그리고, 세월이 지나 그 사랑이 죽음으로 다가올 때 남겨지는 절망을 노래하는 순간들이
책에 일대기처럼 이어져, 함께 기뻐하고 감동하고 슬퍼했다.

 

 

 

 

 

 

 

 

 

 

 

 

 

 

 

 

 

 

 

 

 

 

 

 

 

 

 

 

 

 

 

 

 

 

 

 

 

 

당연히 대문자로 써야하는 I 조차, '내가 상대방보다 크지 않다'는 이유로 소문자 i를 고집했던,

e. e. cummings,
그의 시에서 나와 함께 늘 존재하는 내 사랑에 대해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읽기만 해도 눈물이 팍. 나왔던 Funeral Blues.. 
이 책에서 가장 감동적이었던 시라고 말하지 않을 수가 없다.
나의, 동-서-남-북이었던 그대. 나의 근무일이자 일요일의 휴식이었던 사람.
그사람이 떠난 지금, 그 어떤 것도 전과 같진 않다는 내용인데
시를 읽으면서 그 허무함과 절망, 그리고 외로움. 돌이킬 수 없는 암담함이 느껴져서 절로 먹먹했다.
 
내가 시를 좋아하는, 사랑하는 이유는
짧은 단어의 나열 속에 리듬이 있고 노래가 있고
그리고 끝도 없이 상상할 수 있는 감정이 있고 내용이 있고
읽을 때마다 달라지는 변화가 가득하기 때문이다.
 
너무나 오랜만에 다시 들어본 영시지만,
역시나 또 좋구나 - 그런 생각이 든다.
 
뼈속까지 난 어쩔 수 없는 영문학도구나.. 라고 깨닫게 해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