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으로 보는 미국 살림지식총서 83
채동배 지음 / 살림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우 저렴한 가격에 매우 다양한 주제를 선보이는 문고판 "살림 지식 총서"시리즈의 존재를 알게 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인터넷에서 일반 레포트나 짦은 논문 하나도 몇백원 몇천원씩 받아야만 읽어볼 수 있는 마당에 3000원 남짓한 이 시리즈의 가격은 꽤나 매력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다루고 있는 주제들도 매우 넓고 적절히 차별화된 주제여서 딱히 기존의 나의 관심분야가 아니었던 분야에 대한 책들도 선뜻 읽어볼 마음이 들었다.(물론 이에는 저렴한 가격이 매력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리즈 제 83번 "법으로 보는 미국"은 작은 페이지 수 안에 미국의 사법체계에 대해 간명하게 서술해놓고 있다. 미국 현지에서 변호사 및 판사로서 일하고 있는 저자는,  간략하게 미국 사법제도의 역사, 연방 조직, 주 조직, 검찰 조직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 핵심적인 개념위주로 설명하고 있다. 일본을 통해 독일 법을 계수한 우리나라와, 유럽 대륙과는 독자적인 제도를 발전시킨 영미권의 사법제도는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우리 법에 어느정도 소양이 있는 사람이라도 영미의 사법제도를 접하면 그 개념이 쉽게 와 닿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평소에 할리웃 법정 스릴러 물 영화를 보면서도 그 제도들에 대해서 의문이 가는 것이 한 둘이 아니었는데(보안관과 경찰은 어떤 면에서 다른가?/fbi는 경찰과 어떤 관계에 있는 것일까?/왜 미국은 정치적 불공정의 위험을 감수하고 대법관의 정치성을 인정할까?등등), 이 책을 읽고 그 기초적인 개념들에 대해서는 궁금증을 대부분 해소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불여 저자는 미국의 사법제도의 특질에 대해 언급함과 동시에 우리의 사법개혁에 대해서도 짤막한 코멘트를 덧붙이고 있는데, 현재 논의 중인 한국 사법 개혁 문제를 바라보는데 상당부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아쉬운 소리 하나 하자면, 이 책과 같은 경우 매우 다양한 미국의 유명인사들의 이름, 그리고 도시의 이름들이 나와있다. 그런데 저자가 미국생활을 오래해서인지 우리나라에서 공적으로 쓰이는 외국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고 실제 발음에 가까운 표기를 하고 있다.(와싱튼-워싱턴, 캐너디-케네디) 실제로 그 발음이 현지에 가까울지라도 유명한 고유명사의 경우 통용되는 외국어 표기법에 따르는 것이 한국의 독자들에게는 보다 쉽게 전달되지 않을까싶다. 실제로 나의 경우에도 이 책을 보다보면 그런 부분이 나올때마다 사고의 흐름이 잠시 멈추었던 경험이 있다.-_-;  

그렇지만 결과적으로 꽤 만족스러운 문고판시리즈를 접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의 책들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