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슬픈 열대 ㅣ 한길그레이트북스 31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지음, 박옥줄 옮김 / 한길사 / 1998년 6월
평점 :
눈물이 흘러내린다. 주책없이 하염없이 내리려 한다.
어쩔 줄 모르는 미안함에 차라리 눈을 감고 어떤 것도 보지않으려 한다.
내가 살아오고, 내가 몸담고 있었던 소위 '문명'이라는 것이 '진보'라는 이름으로 행한
야만스러운 행위에 도무지 참을 수 없는 분노를 느낀다.
역사는 과연 진보하는 것일까?
역사라는 것이 진보하는 것이라면 이네들 원주민들의 삶은 소위 우리네들이 몸담고 있는
문명의 후진적 버전일 것이다. 이를 통해 이들을 제도하고 이들을 문명인에 알맞게끔
교화시키는 것 역시 합당하다, 아니 '합리적'이라 하겠다.
하지만, 이네들의 삶이 과연 제도하고 교화될 만큼 낙후되어 있던가, 이네들의 삶이
후진적이라고 폄하하고 가치없다 여길만큼 우리네들의 문명은 과연 '진보'라는 기치의
선진성을 가지고 있었던가?
'슬픈 열대'는 1930년대 레비-스트로스의 브라질 열대 원주민들에 대한 삶을 연구한 민속학, 인류학의 보고서다. 비록 인류학 내지 민속학이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문학적인 소양이 탁월한 레비-스트로스에 의해 하나의 기행 문학 작품로 여겨질만큼 걸작 중의 걸작이다.
체험과 함께 자신의 개인적인 소회들을 철학적 사유와 함께 적어내려가는 그의 글에는 원주민들의 삶에 대한 연민과 자신이 속한 문명에 대한 의구심들을 끊임없이 표출해 내고 있다.
원주민, 그네들의 삶 속에 내재된 자연과의 조화는 문명의 인위적인 권력에 편입하길 거부
하며 민속학 연구를 택했던 레비-스트로스 본인의 기본적인 천성과 너무나도 잘 어울렸을 듯
하다.
이네들이 거니는 숲 속에서 호흡하고, 이네들이 노니는 강물에서 천연스럽게 뛰어놀며
이네들이 조직한 사회와 문화의 체계를 거스르려 하지않고 오로지 이 속에서 현대 문명의
이기성과 편협성, 그리고 나아가서는 야만 사회라 칭하는 체계내에서 공통적인 유사성을
추론함으로써 '구조주의'라는 철학적 분위기를 조성하려한 레비-스트로스의 노고를 알 수
있다.
"완전한 사회란 없다. 각 사회는 그것이 주장하는 규범들과 양립할 수 없는 어떤 불순물을
그 자체 내에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 이 불순물은 구체적으로는 숱한 양의 잔인, 부정,
그리고 무감각으로 표현된다.
우리는 이같은 요소들을 어떻게 평가해야만 하는 것일까? 민족학적 조사가 여기에 대한
대답을 제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어떤 적은 수의 사회를 비교하면 서로서로가 매우 다른
것처럼 보이게 되지만, 조사의 영역이 확대되어 나감에 따라서 이 차이점들은 점점 감소된
다. 그리하여 마침내는 어떤 인간사회도 철저하게 선하지 않다는 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슬픈 열대'를 아우르는 레비-스트로스의 정서는 '연민'이다. 사라져가는 - 문명으로 인해
피폐해져가는 야만의 삶 - 원주민들의 삶을 안타까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도 문명
이라는 범주에 소속된 피고로서 어떠한 변명도 또한 어떠한 외면도 하지 않으려 한다.
그저 두 줄기의 눈물만이 그의 볼을 타고 흐르는 듯 차마 외면할 수 없는 그의 시선을
느낀다.
그의 시선 속에서....
나 역시 문명이라는 범주에 속한 자(者).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