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1
미셸 투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03년 11월
평점 :
철학자이자 소설가인 미셸 투르니에..
인문학자 출신 소설가들의 글쓰기가 으례 그렇듯 그의 소설이 어려울 것이라 예상할 수 있지만,
놀랍게도 (이를 놀랍다고 표현해야하는 지 다소 의문이지만) 그의 글은 전혀 난해하지 않다.
즉, 최소한 움베르토 에코류는 아닌 셈이다.
그의 글이 비록 철학적 소설이라는 테제를 가지고 있지만,
주제의 추상성에 비해 문체는 평이한 편이라 읽어내려감에 그닥 어려운 점은 없다.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은 그의 첫번째 소설로서 그를 단숨에 프랑스를 대표하는 작가로
만들어준 말 그대로 출세작이다. 그의 철학적 지성과 표류기라는 장르가 근본적으로 지닌
삶에 대한 끊임없는 사유와 존재 의식이 절묘하게 조화된 주제 의식은 이 소설의 가장 큰
매력이라 할 것이다.
이 소설을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로빈슨 크루소'의 완벽한 뒤집기...
어릴 적 동화책 속에서 보았던 로빈슨 크루소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어버린 문명에 대한
우월성과 제국주의적 동경은 이 소설을 통해 차츰차음 소멸되며, 인간의 존재 완성은
구조화된 문명이 아닌 탈구조화된 환경 속에서 구축될 수 있음을 작가는 줄곧 요구한다.
어느새 몸 속에 자연스럽게 배어버린 문명 의식은 이내 자신의 자유의지마저 수동적으로
변하게하고, 거대한 장막 안에 한계지워진 상황 속에서 끊임없이 존재할 수 없는 자아를
찾아 챗바퀴돌 듯 과정을 반복하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안타까운 자화상을 방드르디를
통해 작가는 말한다.
조금은 무거운 주제로 인해 자칫 지루해할 수 있으나, 문명이라는 심연의 우물 안에 갇힌
자신에 대한 연민은 작가가 제시하는 해답을 찾기위해 끝까지 책을 놓을 수 없도록 한다.
이 책을 읽고난다면 아마도 다시금 투르니에의 또 다른 책들을 찾게 되리라.
그가 가진 프랑스 철학적 휴머니즘은 기존의 푸코, 보드리야르 등과는 또 다른 매력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기에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