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일부일처제가 절대적이라고 일반적으로 생각하기는 하지만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한 사람에 만족하지 못하며 영화나 드라마, 소설 속의 로맨틱한 사랑을 꿈꾼다. 그리고 아주 당당하게 "남이 하면 불륜, 내가 하면 로맨스"라고 이야기한다. 그러한 뻔뻔함을 가장한 당당함을 한 차원 뛰어 넘어서는 주인공 인아는 자신의 사랑을 놓치기 싫어, 남편을 무려 둘씩이나 두고 살기를 결심하고, 실천에 옮긴다.

게다가 인아를 너무 사랑하는 남자 덕훈과 재경은 인아를 놓치기 싫어 상식적으로 얼토당토 않을 두 집 살림에 가담(?)하기에 이른다.

깬다.

두 집 살림을 하겠다는 인아나, 그걸 받아주는 덕훈이나, 재경이나... 정말 상식적인 사람이 못 된다.

그러나 소설 속 속내를 들여다보면 폴리가미 내지는 폴리안드리 같은 것은 우리 사회에선 그야말로 판타지에 불과하다는 것을 인정해 버리고 만다. 특히 출산과 함께 발생하는 육아문제에 있어 우리 사회는 폴리아모리나, 폴리가미나, 그 어떤 것도 받아들이고 수용할 수 있는 처지가 못 되기 때문이다.(솔직히 일부일처제로 살면서 아이 낳아 키우는 것도 힘들고, 편부 내지는 편모는 더더욱 힘든 세상에, 일처다부나 일부다처를 본인들이 부모 당사자들이 아무리 인정하고 그럴 수 있다 해도, 사회에서 그것을 고운 시선으로 봐줄리 만무하며, 그런 가정에서 자라나는 아이 역시 정상으로 수용할 리 없다.)

점점 더 가정이라는 개념이 파괴되는 우리 사회의 가족 제도 내지는 가족 문화(?라고 할 수 있을지...)에 대해, 또는 한 사람만의 배우자를 독점하려는 일부일처제라는 제도도 과연 수용 가능한지에 대해... 이래저래 생각할 만한 여지를 제공하는 소설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