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할인판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 베로니카 카트라이트 외 출연 / 유니버설픽쳐스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처음으로 보았던 히치콕 영화가 바로 이것이었다는 불운(?)은 이 감독이 매우 불길하고, 찝찝하며 괴상한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라는 선입관을 10여년 가까이 유지하게 만들 정도였다. 내 잘못은 아니지만 제작된 후 40년이 지나서 전혀 정보 없이 본 영화는 조잡한 느낌의 특수효과와 음악 하나 없이 진행되는 다이얼로그, 그리고 눈을 의심케 하는 결말까지 모두 수면제가 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무심코 비디오를 빌렸던 나는 친구들로부터 상당한 수위의 성토를 감내하며, 영화로 인해 생긴 검은 새 포비아(phobia)를 감내하며 그렇게 10년을 히치콕 영화를 멀리하며 보냈다. 가끔씩 주위에서 명작이란 소리를 해도, 그저 남들이 말하는 대로 맥카시즘에 대한 조금 혐오스런 알레고리가 아닌가, 하고 여길 뿐이었다.

근데 특수효과에 대한 눈높이가 당시와 비교할 수 없게 높아지고, 폭력 장면에 대한 관점도 상당히 많이 무뎌진 10년 지난 이 시점에서 다시 이 영화를 보았을 때, "이것은 명작이다!"라는 외침이 바로 목을 타고 올라오는 것은 그러고 있는 본인으로서도 이해 불가. 허나 사실이 그렇다. 배경 음악을 전혀 쓰지 않음으로써 배경 마을의 고요함과 새들의 사운드는 끔찍할 정도로 대조를 이루어 공포스러워지며,  흑백으로만 표현되는 새들의 군집과 대조되는 올컬러의 인간 세계의 이질감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티피 헤드렌이 사온 푸른 잉꼬가 영화 끝까지 다른 새들의 광기에 동참하지 않는다는 점은 눈여겨 볼만하다.) 덧붙여 미치와 그의 어머니, 멜라니가 벌이는 신경전과 갈등의 드라마는 히치콕의 타 영화에서 보기 힘든 인간적인 울림이 있었다. 사실 10년 전엔 인생경험이 부족하여 이러한 갈등을 거의 캐치하지 못했던 것 같다.

보통 히치콕의 영화에서 잘 나타나는 '적대적 군중'으로 인한 공포의 연장선상에 '새'가 있는 것 같은데, 매개체가 말 못하는 '새'이다 보니 그 의미가 상당히 모호해진다. 10년전 처음 봤을 때처럼 딱 무엇이다, 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가 없어진 건지, 집단적 광기로부터 자연재해 같은 천재(天災), 혹은 핵전쟁과 같은 원치 않으나 불가피한 재난을 의미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는 추측이 들 뿐이다. 어쨌든 그 새들이 점진적으로 모여 형성하는 결말의 비주얼은 지금의 관점에서 봐도 섬뜩하다.

히치콕의 내용 있는 스릴러 중에서는 [현기증]을 최고로 꼽고 싶지만 (따라서 히치콕의 최고 명작으로도 등극하지만) 공포스러운 면에서는 이 영화를 최고로 꼽고 싶다.

사족 : 각본가가 이던 헌터인데, [87분서 시리즈]를 쓴 에드 맥베인의 또다른 필명이다. 드라마의 비중이 자연스럽게 커진 것은 이런 뛰어난 각본가의 덕분이 아닐까. 나 또한, 다른 히치콕 영화 감상자들처럼 처음 주인공들의 눈맞음은 으례 나오는 맥거핀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었는데 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oirot 2004-05-16 2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작이 "레베카"의 다프네 두 모리에이기도 하죠..모리에 원작에 이반 헌터 각색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