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데온과 방화마 동서 미스터리 북스 134
J.J.매릭 지음, 박명석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드온 시리즈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EBS에서 어느 일요일 오후에 '기드온 경감'이란 영화를 해주었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주인공 기드온(Gideon) 경감이 장래의 사위가 인사하러 와도 만날 틈이 없을 정도의 눈코뜰새 없는 하루를 보내는 게 내용이라 참 특이한 경찰 영화군, 하고 생각했는데 같은 시리즈의 발간 소식을 듣고 기다려 사본 결과, 원작의 분위기도 그리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영화와 지금 리뷰의 대상이 된 소설은 전혀 다른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으며 전개하는 방식도 다르지만, 말하고자 하는 바는 거의 같은 듯 하다. '그들은 정말 열심히 뛰고 있다'

이 소설은 이를 테면 '경찰청 사람들'+'인간극장'의 내용을 갖고 있다. 해설을 읽어보면 기드온은 체포권이 있는 형사 중 가장 높은 직책을 맡고 있다. 그의 눈으로 전개되어 나가는 책은 곧 6백만 런던 시민의 안녕을 책임지는 스코틀랜드 야드의 일상을 의미한다. 흉악범에 대한 증오, 현장의 드라마, 주인공 자신의 사생활과 종으로 이어진 부하들과의 인간관계가 부수적인 줄거리로 짜여 있는데,

책을 처음 든 순간부터 전혀 지루하지 않게 끝까지 갈 정도로 상당히 간결하게 잘 씌어졌다. 적어도 나는 재미있게 읽었다. 50분짜리 단편 TV 드라마를 보는 것 같은 속도감을 몇백 페이지의 책에서 느끼기는 쉽지 않은데 말이다. 범인의 심리를 자술하여 범인을 미리 밝혀 놓고 진행하거나, 트릭이 너무 단순한 것이 본격물에 익숙한 눈으로는 거슬리긴 한데, 수법이 단순해! 하고 책을 던져버리기엔 주요 사건이 좀 심각하게 센세이셔널한 편이라서 그랬던 것일까.

다루는 사건들이 단순하기 때문에 크로프츠 류와의 차이점이 생기는데, 프렌치 경감 시리즈가 복잡한 트릭을 사실상의 주인공으로 삼고 있다면 [방화마]는 경찰 제복 속의 사람 자체에 초점을 맞춘다. 공무를 수행하다 상해를 입는 경관들의 얘기가 자주 짤막하면서도 비장하게 언급되는 것이 그 증거. 결국 말하고자 하는 바가 범인 찾기 놀이라기보다는 60년대 런던의 사회상과 경관들의 휴머니즘, 사람 사는 이야기인 듯 한데 자칫 유치할 수도 있는 얘기를 무뚝뚝한 기드온의 시점을 선택해서 진지하게 끌어가는 것이 사뭇 괜찮게 느껴진다.

재미있는 것은 똑같이 형사라는 소재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87분서 시리즈하고는 그 분위기나 정서가 완전히 달랐다. 콜린즈에서 크로프츠, 덱스터, PD 제임스로 이어지는 영국 쪽 경찰 리얼리즘 소설 특유의 우직함이 느껴진다고나 할까. 경찰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한번쯤 읽어봄직하다.

호크의 <마법사의 죽음>이 권말에 합본되어 있다. 사이먼 아크라는 신비학자? 사이비 교주?가 탐정으로 등장하는 단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