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풍선이 남작의 모험 환상문학전집 13
루돌프 에리히 라스페 지음, 귀스타브 도레 그림, 이매진 옮김 / 황금가지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추억에 기대어 감동을 간직하고 있는 책들을 샀다가 그 멋대로 만들어진 환상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느끼고 실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책도 예외는 아닌데 예를 들면 교회의 십자가에 말이 걸려 있고 남작은 바닥에 널부러진 추억의 삽화 같은 것이 몇 점 누락되어 있다든가 하는 사소한 사항에서 예전에 읽던 그 책이 아니라는 것을 느끼기엔 충분하다.

책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게 된 것은 동명의 외국산 토크 게임을 친구들이랑 둘러앉아 하면서였다. 재미있는 것은 다들 책이 재미있었다는 사실을 기억은 하는데, 그 스토리의 완벽한 내용을 기억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는 사실. 그만큼 뮌히하우젠의 거짓말은 기상천외하고, 보통 사람이 상상하기 쉽지 않을 정도로 황당하긴 하다.

그 내용을 일부나마 다시 재확인하게 해 주는 출판물이 나온 건 반가운 일이긴 한데, 글쎄, 가능하면 원판을 번역하는 게 낫다지만 잘 알려진 뷔르거의 판본이 번역되었다면 좀더 두껍고 재미있는 책이 나오지 않았을까. 총알보다 빠른 사나이나, 믿을수 없이 힘센 거한 같은 조력자들이 등장하는 에피소드가 아프리카 유람 따위보다는 훨씬 재미있었으니까.

시대상을 반영한 통속 문학이니만큼, 남작의 입을 빌려 동시대의 인물들을 저속하게 희화화 하거나 비판한 부분, 단지 용맹을 드러내기 위한 동물에 대한 잔혹함은 추억의 작품에 대한 감동을 매우 많이 깎는 부분이었다. 제국주의의 수법을 풍자한 부분은 시대적인 배경을 감안할 때 획기적이고 날카로운 풍자라고 여겨졌으나 프랑스 혁명에 대한 작가의 견해에는 아무래도 동의하기 힘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