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들은

우리옆집에

산다

  

 

북토크

 

정혜신

진은영

이명수

 

 

홍대 벨로주

PM07:30

 

 

 

지상에서 천국을 찾지 못한 사람은

하늘에서도 천국을 찾지 못할 것이다.

우리가 어디로 이사 가든

천사들이 우리 옆집을 빌릴 테니까.     - 에밀리 디킨슨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벌써 1년하고도 한 달이 넘었다. 아직도 차가운 바다 속에는 진실과 함께 아이들이 잠들어 있다. 세월호가 가져다 준 충격과 비현실같은 현실은 계속되고 있다. 인터넷을 보면 세월호 피로를 언급하는 사람도 있는 것 같다. 어쩌면 재앙같은 트라우마를 겪으며 무기력때문일 수도.

 

세월호 관련 책들이 많이 나오는 중에, 이번 창비에서 '금요일엔 돌아오렴' 에 이어 '천사들은 우리옆집에 산다'를 발간했다. 시인 진은영이 묻고, 쌍차 해고노동자를 위한 '와락'에 이어 안산에 거주하며 치유공간 '이웃'을 만든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이 답한 글모음이다. 사실 이번에 안 사실인데 진은영 시인은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문학상담 교수라고도 한다. 계절이 세번 바뀌는 동안 세월호 트라우마 치유를 위해 인문학자와 정신과 전문의의 관점으로  오고간 대화록이랄까.

 

지난 수요일, 책이 나오면서 알라딘 북토크 행사가 있어서 응모한 것이 당첨되어서 참석할 수 있었다. 이전에는(이전이라고 했지만 한 2년 전..) 상상마당에서 행사를 자주 했었던 것 같은데 요즘에는 벨로주로 옮긴것 같다. 벨로주는 처음이었는데 생각보다 아담하고 깔끔했다. 계단을 내려와 별도의 문이 없어 지산에 오고가는 차소리와 소음이 좀 크게 들린 다는 게 흠이라면 흠.

 

일찍 도착해서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그러면서 정면도 아닌 곳에 자리를 잡았다. 현장에서 판매하는 책을 구입하고 북토크가 시작하기까지 천천히 읽어보았다.

 

이번 북토크는 저자와 사회자 이명수로 진행되었다. 이명수 님은 심리기획자이자 칼럼리스트라는데 정혜신 님의 남편으로 같이 '이웃'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처음 뵙는 분이었는데 뭔가 열정적이고 개성강하신 듯한 인상이었다.)  심리치유공간 '이웃'에서 만나는 유가족들의 이야기를 전하면서 애써 울음을 참는 정혜신 님의 모습에 울컥하기도 했다가 이명수 님의 재치있는 진행에 웃기도 하면서 2시간이 지나갔다. 

 

북토크 질의응답 시간에 나온 질문 하나. 우리가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아마도 북토크 참석자 모두가 갖는 물음일 것이다. 내가 무얼 할 수 있을까. 뭐라도 하고 싶은데 내가 도움 되는 게 있을까. 답답한 현실 앞에 세월호 관련 책을 읽고, 이 곳까지 왔을 것이다. 이런 우리들에게 이명수 심리기획자는 명쾌하게 대답했다

OO 밖에 할 수 있는게 없다. 그러면 그 것을 하시면 된다.

우리는 할 수 있는 게 상담이라서 하는 것이고,

시인들은 할 수 있는 게 시이기 때문에 낭송회를 하는 것이다.

전 직장 동료가 4시 16분 이면 세월호 희생자를 위해 기도를 하곤 했었다. 천주교신자였던 동료는 다니는 성당에서 다같이 하는 일종의 약속, 이라고 했는데 4시 16분 핸드폰 알람이 켜지면 세월호로 희생된 이를 위해서 짧지만 온전히 그들을 위해 기도를 하였다. 작지만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 그게 중요한 것 같다. 책에서도, 북토크에서도 별이된 아이들, 어른들, 그리고 유가족들을 위해 기도해달라고 했다. 종교를 떠나 온전히 그들을 위해서. 지금 내가 당장 할 수 있는 것도 아마 간절하게, 온전하게 기도하는 것밖에 없다. 그리고 책도 읽어야지. 어쩌면 세월호 관련 책을 읽는 것도 세월호 트라우마 치유의 한 과정일 수도. 그러다보면 점점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이 늘어나지 않을까 싶다. 

  

 

 

 

MEMO

    •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한 배려가 오히려 더크고 치명적인 상처를 줄 수 잇다.
    • 아픈만큼 성숙해지는 게 아니라, 아픈만큼 파괴되는 트라우마.
    • 모두에게 강요받는 슬픔의 진도
    • 모든 사람은 치유적 존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