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 4 - 교토의 명소, 그들에겐 내력이 있고 우리에겐 사연이 있다 ㅣ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학창시절 한달에 한 번씩 독서감상문을 내곤 했었다. 보통 권장도서 리스트 중의 하나였다. 그 때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였다. 운동장에서 노는 것 보다는 방 안에서 책읽는 것을 좋아했던 나로서는 앉아서 여러 지역의 문화재를 느낀다는 것만으로도 호기심을 자극하기 충분했었다.
시간이 흘러 나의문화유산답사기 뒤에 숫자가 늘어나면서 마치 학생때로 돌아가 권장도서목록처럼 읽어야만 하는 책처럼 읽곤 했었다. 일본편이 처음 나올 때도 그랬던 것 같다. 가깝고도 먼 나라인 만큼 호기심이 동하기도 했고, 복잡미묘한 감정으로 일본편 1권을 읽었었다. 가깝고도 먼 나라인만큼이나 같으면서도 다른 일본의 문화를 역사와 함께 읽는 것은 1석 2조의 즐거움이라고나 할까.
그런만큼 나의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의 마침표인 4권을 누구보다 빠르게 받아본다는 특별한 즐거움은 놓칠 수 없는 기회였다.
"그들에겐 내력이 있고 우리에겐 사연이 있다."
일본 문화유산이 가지는 그들만의 역사가 있고, 그것이 우리역사와 맞닿아 있는 사연이 있었다. 이를테면 건인사의 내력과 우리의 팔만대장경 이야기처럼.
그러나 문제는 그들이 내력을 기억하는 방식일지도 모른다. 우리나라의 숭유억불에 따라 절이 산으로 올라가고, 관련 책들이 화마 속으로 사라진 것처럼 일본도 폐불훼석을 겪었다. 우리가 문화재 소실이라는 심각성과 아쉬움을 토로한다면, 일본인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저자가 폐블훼석 떄 흥복사가 망가져가는 과정을 자세히 언급한 것이 일본인들에게 충격일 것이라는 일본한 연구자의 언급이 일본인의 역사인식을 드러내
어쩌면 일본과 얽힌 뼈아픈 근대사가 아직도 현재 진행중으로 남아 있는 것도 이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천황이 행한 일이고, 자신들의 문화 파괴를 심각하게 생각지 않은데 하물며 남의 나라라면 더 말해 무엇할까.
400쪽이 넘는 분량을 읽으면서 저자가 거닐었던 동선을 따라 교토의 명소를 거닐고 싶다는 충동이 일었다. 부록으로 첨부된 답사 일정표대로 따라가기는 힘들수는 있겠지만 책으로 시뮬레이션을 해봤으니 나만의 문화유산답사기가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저자는 이번 편으로 나의문화유산답사기의 대장정을 마친다고 하지만, 그의 답사력과 필력을 믿는다. 고로 떠오르는 강국인 중국편이 나오길 기대해본다.
(그런 의미에서 아쉬움을 남기는 별 4개..)
